정부가 복귀하는 전공의와 진료지원(PA) 간호사의 업무영역을 각 병원이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각 병원별로 전공의와 PA 간호사 간 업무영역 충돌 상황이 다르고, 전공의 복귀 규모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안 보다 개별 수련병원들이 사정에 맞게 조율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7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각 병원이 개별적으로 전공의와 PA 간호사와의 업무범위를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각 병원 상황에 따라 PA 간호사와 전공의 간 업무 설정을 두고 고민이 많다”며 “전공의 복귀 후 PA 간호사 업무범위를 줄이겠다는 곳도,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전문의 중심 병원 체제로 전환 차원에서 업무범위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곳도 있어 제각각”이라고 전했다.
PA 간호사들은 전공의들이 대부분 사직한 상황에서 병원 운영, 진료유지에 역할을 해온 만큼 전공의가 복귀하면 업무를 두고 충돌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PA 간호사는 간호법 제정으로 합법화됐으며, 정부도 이들이 수행 가능한 업무를 규정하는 ‘진료지원 업무 수행규칙’ 제정안을 만들고 있다. 입법예고를 거쳐 9~10월께 진료지원 업무 수행규칙을 시행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각 병원들은 전공의와 PA 간호사 간 업무 범위의 가이드라인을 정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김대중 대한내과학회 수련이사(아주대병원 교수)는 “전공의-교수는 물론 PA 간호사와 역할 분담도 다시 해야 하기에 당분간 혼란이 불가피하다”며 “복귀 후 이탈하는 전공의도 있을 수 있어 수련병원들이 6개월~1년은 불안한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달라진 수련환경 속에서 의사가 반드시 해야 하는 업무와 PA 간호사가 해도 되는 업무를 구분하는 과정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공의 복귀 규모도 PA 간호사의 업무범위 조정의 중요한 변수다. 사직 전공의들 중 절반 이상이 이미 의료기관에 일반의로 재취업했고, 수련 자체를 포기한 전공의도 상당할 뿐 아니라 입영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의료계에서는 고연차 중심으로 복귀가 이뤄져 전체 사직 전공의의 3분의1~절반 가량이 돌아올 것으로 보고 있다.
정호원 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백브리핑에서 “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담당 실국에서 검토하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것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