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교육청이 돌봄 수요 증가와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자 진주시 동진초, 창녕군 영산초에 지역맞춤돌봄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두 곳은 2026년 3월 개원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업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추진된다. 돌봄 수요가 많은 진주에는 ‘대기수요 해소형’, 인구 감소가 우려되는 창녕에는 ‘지역 소멸 대응형’ 모델이 적용된다. 이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 맞춤형 공공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진주 지역 돌봄센터는 혁신·초전 지역의 높은 돌봄 수요를 해결하고, 구도심 학생에게 질 높은 돌봄과 방과 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근 대학은 물론 지역 시설과 연계해 수영, 클라이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센터 내에서는 체험 특화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창녕 지역 돌봄센터는 인근 학교 돌봄교실을 통합해 학교는 정규 교육과정에 집중하고, 방과 후 돌봄과 교육은 센터에서 전담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오케스트라, 합창 등 단체 프로그램도 제공될 예정이다.
센터 설립에는 총 6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진주 센터에 약 39억 5000만 원, 창녕 센터에는 약 28억 9000만 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특히 창녕군은 2026년부터 연간 3억 원 이내 돌봄센터 운영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박종훈 교육감은 “거점통합돌봄센터인 ‘늘봄’(명서·상남·김해)은 공적 돌봄 확대의 첫 모델이었고, 올해 3월 개원한 밀양 ‘다봄’과 남해 ‘아이빛터’는 지자체와 협력한 돌봄 최초 모델”이라며 “진주·창녕 돌봄센터가 학교 교육과 돌봄을 분리해 학교는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지속 가능한 미래형 돌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