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건설 부문 침체가 한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을 저해(hamper)할 것이라며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캐슬린 오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1일 발간한 보고서 '만성적인 건설 과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불리한 수급 상황에서 국내 건설 부문의 지속적인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3년째 침체를 겪고 있는 한국의 건설 부문이 올해 2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을 다시 저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성장에 발목을 잡은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국내 건설 부문으로 둔화 양상이 만성적" 이라며 "지역 주택 가격 전망이 좋지 못하며(depressed),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강도 높은 규제로 회복 속도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와 공공주택 공급 확대 계획, 이에 따른 재정 지출 증가는 건설 수주 및 건설 활동의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며, "2차 추경을 통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지원은 건설업체의 어려움을 다소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회복은 4∼8분기의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공급 확대 계획과 함께 "완화적인(accommodative) 통화 배경은 건설 부문의 회복을 유도하는 데 필수적"이라면서 "시의적절하고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중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