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이 안심하고 장사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 구축과 소비촉진을 통해 회복·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습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신임 장관이 24일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골목형 상점가와 전통시장을 찾았다. IT기업인 출신이지만 소상공인에 대한 관심과 정책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행보로 풀이된다.
한 장관은 이날 세종정부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직후 대전 유성구의 은구비서로 골목형상점가와 동구 중앙시장활성화 구역을 찾았다. 한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소비진작을 위한 정책 추진 상황 등을 현장에서 점검했다. 한 장관은 떡집, 분식점, 카페, 과일가게, 반찬가게 등 다양한 상점을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한 장관을 만난 이충환 전국상인연합회 회장은 “취임 직후 가장 먼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찾아 준 것 만으로 정부에 신뢰를 느끼고 있다”며 “전국 전통시장과 상권이 다시 활기를 찾고 다음 세대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뀔 수 있도록 중기부가 든든한 버팀목이 돼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한 장관은 “현장에 와야 진짜 일을 시작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전통시장부터 찾았고, 여러 제도들이 현장에 안착되도록 중기부가 끝까지 책임지고 챙길 것”이라며 “상인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곧 민생 회복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고 답했다. 이어 “정부가 할 일은 현장에서 출발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며 “경영·금융 부담을 완화하는 동시에 매출 확대와 소비 진작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도 마련하는 등 앞으로 중기부가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기회를 함께 만드는 동반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서도 소상공인을 정책에 무게 중심을 뒀다. 이날 세종시에 있는 중소벤처기업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소상공인의 ‘회복과 성장’을 돕고, 디지털,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을 통해 중소벤처 기업의 ‘진짜 성장’을 설계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중기부 정책 최우선 과제로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을 제시했다. 한 장관은 “대형 재난에 대한 피해복구 체계 마련, 고용보험 지원, 화재공제 강화 등에 집중하겠다”며 “채무조정 이전부터 선제적으로 폐업·취업까지 소상공인 특성에 맞는 원스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