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그룹은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5일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야간근로와 노동강도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SPC그룹은 제품 특성상 필수적인 품목 외에 야간 생산을 최대한 없애 공장 가동 시간을 축소해 나갈 계획이다.
또 주간 근무 시간도 점진적으로 줄여 장시간 근무로 인한 피로 누적, 집중력 저하, 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SPC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과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인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것"이라며 "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 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5일 경기 시흥의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중대 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에서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건 문제가 있다”며 연이은 SPC 계열사 산재 사고를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산재 사고는) 심야 장시간 노동 때문에 생긴 일로 보인다”며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서 언젠가는 벗어나기 위해 모두가 노력하자”고 했다. 그러면서 “돈보다 생명을 귀히 여기고, 안전을 위해선 비용도 충분히 감수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공장에서는 지난 5월 50대 근로자가 크림빵 생산설비의 컨베이어에 윤활유를 뿌리는 일을 하다가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앞서 2023년 8월에는 계열사인 샤니 성남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어 숨졌다. 2022년 10월 계열사인 SPC 평택 제빵공장에서는 20대 여성 근로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어 사망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