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이 계속되는 가운데 올여름 누적 온열질환자가 3000명에 넘어섰다.
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 516곳 응급실에 들어온 온열질환자는 모두 87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가동하기 시작한 5월 15일 이후 지금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3049명으로 늘어났다.
질병청이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처음 운영한 2011년 이후 연간 온열질환자 수가 3000 명을 넘어선 것은 최악의 폭염을 기록했던 2018년(4526명)과 2024년(3704명) 두 번뿐이다.
질병관리청은 여름철 온열질환 발생의 신속한 정보 공유로 국민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평년보다 5일 앞당겼다. 비교가 가능한 지난해 같은 기간(5월 20일∼8월 1일)보다 온열질환자가 2.3배 많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지난해 수준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모두 18명으로,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8명)의 2배 이상이다. 누적 온열질환자 3049명 중엔 31.8%가 65세 이상 노인이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61.0%로 가장 많고, 열사병(16.4%), 열경련(13.0%), 열실신(8.3%)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발생 장소는 작업장(31.8%), 논밭(11.7%) 등 실외 공간이 다수지만, 실내 작업장(7.4%)이나 집안(6.1%)에서 온열질환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샤워를 자주 하고,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는 것이 좋으며,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가장 더운 시간대인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야외작업이나 운동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