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윤석열 정부가 체코 원자력발전소 수주를 성사시키기 위해 미국 원전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C)와 불리한 계약을 맺었다는 서울경제신문의 보도와 관련해 “불리한이라는 단어에 대해 동의를 못 하겠다”고 반박했다.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 출석한 황 사장은 본지의 ‘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공사 및 WEC 간 불평등 계약’ 보도를 거론한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같은 당 김정호 의원이 ‘사실상의 노예 계약이 아니냐’고 묻자 황 사장은 재차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황 사장은 “(협상을)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정당하다고 생각할 수는 없지만 그 수준은 저희가 감내하고도 이익을 남길만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서왕진 조국혁신당 의원이 '100% 기술 자립이라면 한국이 수출할 때 왜 로열티를 줘야 하느냐고 국민들이 오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 데 대해 황 사장은 “원자력을 하는 입장에서 그런 식의 오해가 생기게 홍보했다면 그것은 정말 잘못됐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기술 자립과 원천기술 이런 것들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국민들한테 제대로 못 구한 것은 저희가 사죄를 드려야 된다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황 사장은 특히 원전 1기를 수출할 때마다 최소 1조 원 이상의 현금이 WEC 측에 넘어가도록 설계됐다는 본지 보도와 관련해 “이게 마치 WEC에게 큰 포션(부분)이 간 것으로 생각하지만 WEC에는 공급망이 없다”며 “공급망이 없는 쪽에서 이렇게 어느 정도 포션을 가져가도 결국 공급망이 있는 (한국)쪽으로 와서 의뢰를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해명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WEC는 그냥 엔지니어링 회사이기 때문에 사실은 제조하고 하는 것은 우리 국내 기업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제가 알고 있기로는 상당 부분이 우리 국내 기업들한테 플러스가 된 걸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 장관과 황 사장,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WEC 계약 관련 자료 제출과 구체적인 해명 요구에 “비밀 유지 약정에 따라서 기사 내용이 사실인가 아닌가를 확인하는 것도 협정 위반”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답변하는 것도 조심스럽다”고 우려했다.
이에 국민의힘 소속 이철규 산자중기위원장은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간 원자력 관련 모든 프로세스가 매듭이 지어지면 다음 기일에 우리 위원회 의결로라도 국민들이 궁금해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자”고 중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