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추가 조사에 나섰다.
2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서울 광화문 MBK파트너스 본사에 조사인력을 투입해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은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펀드 출자자(LP)를 모으는 과정,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부분 등 홈플러스 인수 과정 전반을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앞선 조사에서는 MBK파트너스가 사전에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해 기업회생신청을 계획하고서도 이를 숨기고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단기채권을 발행했다는 부정거래 혐의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이후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가 MBK 경영진 등을 4월 말 검찰에 통보했다.
금융당국이 약 4달 만에 MBK를 다시 정조준 한 건 홈플러스가 13일 15개 점포 추가 폐점을 결정하면서 정치권과 노동계의 비판이 거세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홈플러스의 일부 점포 폐점 결정과 관련해 MBK에 대한 청문회 개최를 촉구하기도 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MBK가 홈플러스 인수를 위해 투자를 유치할 때 향후 경영이나 자금 집행 계획 등이 다 있었을 텐데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의 의지도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지난해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시절 “(국민연금이) MBK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가입자인 국민들에 대한 배임 행위”라고 비판한 적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