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중시하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셀프 건강관리에 익숙한 MZ세대가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이소, 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건기식을 판매하면서 건기식에 관심을 가지는 MZ세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과 편의성이 뛰어난 데다 가격도 저렴해서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5일까지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건기식)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30대가 37.2%로 가장 높았다고 28일 밝혔다. 뒤이어 40대(31.4%), 50대 이상(17.1%), 20대(13.7%), 10대(0.6%) 순이었다. 성별 매출 비중을 보면 여성이 56.6%, 남성이 43.4%다. 전 세대 중 30대 여성의 매출 비중이 20.5%로 가장 많았다.
CU는 건기식 판매 인허가를 취득하고 지난달 28일부터 전국 6000여개 점포에서 건기식 판매를 시작했으며 한 달 만에 약 10만개를 판매했다. 소비자의 신뢰를 위해 종근당, 동화약품 등 유명 제약사와 협업했고 모든 상품을 10개(알) 단위로 소포장해 5000원 이하로 구성했다.
특히 ‘피로회복’을 위해 편의점 건기식을 찾는 MZ세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가 발표한 '2024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와 30대는 가장 고민되는 건강문제로 피로회복과 스트레스를 꼽았다. CU 건기식 판매 순위를 보면 ‘마그랩 포 스트레스’(2위), ‘마그랩 포 에너지’(4위) 등 피로회복 관련 상품이 주를 이뤘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조모(20대·여)씨는 “주위에 약국이 없을 때나 피곤한 새벽 시간 피로회복제나 밀크씨슬 등을 사러 편의점에 종종 방문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소비 패턴을 두고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2030세대는 ‘나를 위해’ 소비한다”면서 “편의점에 들렀다가 우연히 소용량·저가격 건기식을 보고 구매를 시도하는 이들도 많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해마다 커지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10명 중 4명 이상이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본인의 건강 문제를 관리하고 있으며,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2005년 1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6조440억원으로 5배 이상 커졌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는 2028년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가 8조 2912억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