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은 가격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온스당 40달러를 넘어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과 국제 정세 불안이 맞물리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영향이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 현물시장에서 은 가격은 장중 전일 대비 1.4% 오른 온스당 40.29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다. 은값은 올 들어서만 40% 넘게 급등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준에 통화정책 완화를 압박하고, 이번주 발표될 고용지표가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이자를 발생시키지 않는 귀금속 투자 매력이 한층 높아졌다. 실제로 금, 백금, 팔라듐 등 다른 귀금속 가격도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값 역시 이날 0.7% 오르며 최고가를 기록한 지난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중 갈등 등 국제 정세 불안도 투자자들을 안전자산으로 몰리게 하고 있다. 여기에 산업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이 은값 상승을 거들었다. 은은 태양광 패널 등 청정에너지 산업의 핵심 소재로 쓰이는데,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은 산업협회는 올해까지 5년 연속 글로벌 공급 적자를 예상했다.
투자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은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에는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자금이 순유입돼 2020년 이후 최장 기록을 세웠다. 이에 따라 영굴 런던 현물거래소의 자유 유통 가능한 은 재고도 빠르게 줄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