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중국·러시아 3국 정상이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을 맞아 톈안먼 망루에 함께 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양옆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나란히 서는 ‘역사적 광경’이 연출됐다. 시 주석은 “평화냐 전쟁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놓여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 행보를 정조준했다.
시 주석은 이날 전승절 열병식 연설에서 “역사는 인류의 운명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고 경고한다”며 “인류는 다시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 윈윈 협력과 제로섬게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고립주의 외교를 펼치면서도 자국의 이익을 위해 무차별 관세를 퍼붓는 미국을 겨냥하는 동시에 다자주의를 지향하는 중국의 리더십을 강조한 발언으로 읽힌다. 열병식 이후 열린 전승절 리셉션에서도 “중국이 항상 세계 평화에 힘이 될 것”이라며 반미 결속 의지를 다졌다.
냉전 종식 이후 북중러 3국 최고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옛 소련 시절까지 포함해도 1959년 중국 국경절(건국기념일) 열병식 당시 김일성 북한 주석,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함께 망루에 선 후 66년 만이다. 김 위원장이 양자 외교가 아닌 다자 외교 무대에 데뷔하는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행사 내내 김 위원장 곁에 서는 등 김 위원장을 각별히 예우했다. 외신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에서 김일성을 뛰어넘는 ‘정치적 승리’를 거뒀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은 김일성 이후 북한 지도자로는 처음으로 다자 외교 무대에 등장해 북중러 연대에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딸 김주애까지 대동한 다자 외교 데뷔 무대가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나온 만큼 향후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이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든든한 안보·경제적 지원을 사실상 보장받은 상황에서 남북대화의 필요성이 줄어든 탓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