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산 관광지 일부 업소의 이른바 ‘바가지요금’이 전국적인 논란을 일으키자 부산지역 지자체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3일 부산 기장군은 다음 주 중 해동용궁사 등 관광지와 전통시장에서 바가지요금을 근절하자는 취지의 전단을 배부할 계획이다. 최근 이 지역에서는 관광지인 해동용궁사 인근 한 노점상에서 어묵 1개를 3000원에 판매해 논란이 일었다. 군은 전통시장 상인회 등과 협력하는 한편, 별도 상인회 조직이 없는 해동용궁사 인근 점포에서는 자체 캠페인을 진행할 방침이다.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의 한 업소도 최근 해삼 1접시를 7만원에 판매해 논란을 빚자 인근 상인회가 캠페인에 나섰다. 자갈치시장 인근의 어패류조합, 신동아시장, 자갈밭상인회, 외식업지부 등 4개 상인회는 오는 5일 바가지요금 근절과 관련한 캠페인을 진행한다.
최근 바가지요금과 관련한 소비자 불만이 잇따르자 이재명 대통령도 전날 직접 언급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상태다. 지자체들은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가격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오는 11월 열리는 부산불꽃축제를 앞두고는 바가지요금 논란이 숙박업소와 유료 좌석 예매로까지 번지고 있다. 숙박 중개 플랫폼 에어비앤비에 따르면, 축제 당일인 11월 15일 광안리 해수욕장 인근 숙소 1박 요금은 100만원 안팎에 형성돼 있으며, 일부 숙소는 180만원을 웃돌았다. 이는 10월 주말 평균 숙박비(20만~30만원)의 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난 7월에는 날짜 변경을 이유로 기존 예약자에게 수십만 원의 추가 요금을 요구한 업주가 신고되기도 했다. 정가보다 비싼 가격에 유료 좌석 티켓이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오는 사례도 잇따라, S석(정가 7만 원)이 20만원대에, R석(정가 10만원)은 웃돈이 붙어 60만원에 거래되는 모습까지 포착됐다.
그러나 현행법상 가격을 표시하지 않거나, 표시된 가격과 다르게 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제재가 어렵다는 게 지자체 입장이다. 과거 ‘개당 3000원 어묵’이나 ‘한 접시 7만 원 해삼’ 때도 행정 조치는 가격 미표시 등 위반 사항이 확인된 경우에만 이뤄졌다.
매년 수십억원의 세금이 투입되는 대형 축제인 만큼, 업계 자율에만 맡길 게 아니라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