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으로 바이오·반도체·원자력 등 첨단 분야 연구개발(R&D) 혁신을 꾀하기 위한 국가전략 마련이 추진된다. 지난해 딥마인드 연구진에게 노벨화학상을 안긴 단백질 구조 예측 AI모델 ‘알파폴드’처럼 과학기술 경쟁력까지 결정하는 AI 신기술 경쟁에 국가 차원에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구혁채 1차관 주재로 ‘과학기술을 위한 AI(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TF 운영 결과를 토대로 ‘AI for S&T 국가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TF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원, 대학, 산업계 전문가가 참여해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의 로드맵을 마련하고 공동 활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 체계를 구축하며 연구 전주기 자율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이날 대전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전문가들과 관련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AI를 활용한 바이오 신약 개발 가속화,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 설계 및 안전성 강화, 에너지 신기술 개발 촉진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AI가 R&D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과학적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배 장관은 “AI는 과학기술 연구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AI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AI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세계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산업을 혁신할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