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5일 미국이 일본과 합의한 자동차 관세 이행을 공식화한 데 대해 "속도의 문제 아니다"라며 "협상 주체들끼리 최대한 국익에 부합하는 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일본이 완료됐으니까 '우리도 완료된다'라는 기준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성과가 구체화될 때쯤 이게 가장 우리 국익에 부합한다는 생각이 드는 지점을 찾게 되면 답이 나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산 수입품에 기본적으로 15% 관세를 적용하고, 자동차 및 부품 등에 대해서도 15% 관세율을 적용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일 무역합의가 문서화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직 협상 내용이 명문화되지 않은 한국은 자동차와 주요 부품 등에 여전히 25% 품목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15% 관세를 확정한 일본보다 일정 기간 수출에 불리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강 대변인은 "지금 미국의 관세 협약과 행정명령 표시의 부분들은 미국과 각각 개별 국가 간 이뤄지고 있다"면서 "그런 부분에서 저희도 국익과 여러 가지 상호 관세 기준에서 가장 부합하는 측면으로 (합의 이행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금 더 세밀한 기준을 갖고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합의 지점에 이른다면 공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반등세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은 이번 주간을 민생과 경제 주간으로 잡고 있다"며 "퇴임 때 취임 때보다 더 높은 지지율이라는 성적표를 받고 싶다는 이 대통령의 말처럼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의 형편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는 이재명 정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