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체류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에 대해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특히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대미 프로젝트 관련 출장자의 체류지와 비자 체계도 점검·개선하기로 했다.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향후 대미 투자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어 정부의 세부 협상 추이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7일 고위당정협의에서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 명이 체포된 사건과 관련해 “구금자 석방 교섭을 마무리했다”며 “행정절차가 남아 있고 마무리되는 대로 전세기가 우리 국민을 모시러 출발한다”고 말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석방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8일께 미국으로 출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4일 미국 이민 당국이 한국인들을 대규모 체포·구금한 사실이 알려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신속한 해결을 위해 총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미국의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과 대미 투자 기업의 경제활동이 부당하게 침해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외교부는 전날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를 설치해 대책 점검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며 긴급 대응에 나섰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등 관계기업은 직원들의 석방 소식이 전해지자 한숨 돌리면서도 이번 구금 사태가 미칠 파장에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김기수 최고인사책임자(CHO)를 미국으로 급파했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이번 사건이 다른 산업으로 확대되거나 기업 활동이 위축되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한국인들이 추가 제재를 받지 않도록 우선적인 조치를 취하고 나아가 대미 투자 과정에서 필수 인력은 현지에 더 체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하도록 외교적 협상력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