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미래 도시공간구조와 발전 전략을 담은 ‘2040 대구도시기본계획(안)’을 수립했다고 15일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은 도시공간 정책에 대한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20년 도시가 지향해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미래 가용토지 확보 등을 통해 다양한 공간계획의 나침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기본계획안은 앞으로 시민 공청회, 시의회 의견청취 등을 거쳐 내년 초 확정할 계획이다.
군위군 편입으로 대구가 전국 최대 광역시로 자리 잡은 가운데 TK신공항 건설, K2 및 군부대를 포함한 후적지 개발, 인공지능 전환(AX) 등 미래산업 추진, 정부의 이른바 ‘5극 3특’ 정책 등에 대응하기 위해 계획안을 수립했다.
이번 도시기본계획의 핵심 가치는 ‘글로벌 허브, 미래산업 혁신, 삶의 질 향상’으로, 이를 이루기 위해 미래상, 공간구조, 인구·개발가용지 등의 구상과 함께 9대 공간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공간구조의 경우 기존 10개 중심지 체계에서 ‘10+2 중심지 체계’로 개편했다.
10대 중심지는 도심, 동대구, 서대구, 안심, 성서, 칠곡, 뉴k2, 수성, 월배, 현풍으로 상업 및 업무 중심지이자 인접 광역생활 중심지 기능을 강화해 도시경쟁력을 높인다.
군위에는 2개 중심지를 신설했다.
TK신공항이 입지할 서군위 지역에 ‘글로벌 허브거점’을 신설해 경제·산업 특화를 통한 글로벌 신성장 기능을, 동군위 지역에 ‘자연문화 레저거점’을 신설해 관광 및 친환경 레저의 중심지 역할을 부여했다.
인구 및 개발가용지의 경우 도시 활력을 높이기 위해 경제·활동인구, 방문객 등 생활인구 320만을 품은 메가시티로 설정해 대경권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했다.
개발 가용지는 120㎢로 설정, 핵심사업 추진 등 미래 대구의 공간 혁신에 대비했다.
공간전략의 경우 미래상의 목표에 맞게 관문도시, 활력도시, 매력도시 조성을 위한 9대 전략을 수립했다.
시는 오는 30일 이번 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시의회 의견청취와 대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현재 대구는 미래 공간혁신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이번 계획을 통해 대구 핵심사업의 추진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품격 있고 잠재력을 가진 도시이자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