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들의 하반기 채용 트렌드가 인공지능(AI)과 소통 역량, 직무 전문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소통 플랫폼 ‘소플’을 통해 500여 개 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하반기 채용 트렌드 조사’ 결과 응답 기업 69.2%가 ‘채용 시 AI 역량을 고려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어 소통·협업 능력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답변은 55.4%, 직무 전문성은 54.9%로 나타났다. 도전정신·문제해결능력(25.8%), 창의성·혁신 역량(25.0%), 실행력·주도성(20.8%), 윤리의식·신뢰(19.0%), 글로벌 역량(6.8%)이 뒤를 이었다.
절반 이상 기업이 경력을 선호했다. 응답 기업의 51%가 ‘채용 시 경력직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한 반면 ‘신입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10.3%에 불과했다. ‘신입과 경력을 비슷하게 선호한다’는 기업은 38.7%였다. ‘AI 전문 인력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기업의 69.4%는 ‘그렇다’고 답했다.
필요한 AI 인재 유형으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할 수 있는 인재(31.6%), AI를 활용해 서비스나 업무 방식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재(25.9%), AI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인재(15.8%) 등이 꼽혔다.
아울러 응답 기업 중 97.4%가 ‘노동 관련 제도의 변화가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주요 이슈로는 주 4.5일제(29.3%), 정년연장(26.7%), 노란봉투법(25.8%), 포괄임금제 폐지(15.5%) 등이 꼽혔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이 ‘AI 전환’에 집중하면서 인재를 둘러싼 핵심 키워드도 단연 AI인 듯하다”며 “미래 기술에 대한 채용시장의 변화를 관찰해 산업 부문의 인력 수급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