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과학기술 연구를 책임지고 있는 공공 연구기관의 ‘리더십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다. 지난해 계엄과 대통령 탄핵 등으로 인사 시기를 놓친 기관의 수장 선임 절차가 지금까지 지연된 탓이다. 정부가 내년 연구개발(R&D) 분야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 원 안팎으로 편성한 가운데 컨트롤타워 공백 여파로 중요한 과학 프로젝트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 따르면 2019년 11월 취임한 노도영 IBS 원장은 이달 말까지만 근무한 후 광주과학기술원(GIST)으로 복귀한다. 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인 노 원장은 지난해 11월 IBS 원장 임기가 만료됐음에도 후임을 찾지 못해 원장직을 1년 가까이 더 유지했다. 원장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구성돼 올해 초 서류 심사까지 마쳤지만 대통령 선거와 국정감사 등 국가적 이벤트가 이어지면서 인선 지연이 지금까지 지속됐다. 게다가 노 원장은 GIST와 약속한 휴직 기간이 만료된 탓에 복직해 학계로 돌아가게 됐다. IBS 측은 현재 원장 선임을 위해 추가로 진행 중인 절차는 없다고 밝혔다. 새 원장이 취임하기까지 IBS 원장 자리는 기약 없이 비어 있게 된 것이다.
과학 연구기관의 기관장 공백은 비단 IBS만의 일은 아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다수의 공공 과학 연구기관이 후임 기관장 인사를 진행하지 못해 지난해 혹은 올해 초 임기가 만료된 전임 기관장이 임무를 이어가고 있다.
과학기술계에서는 이 같은 리더십 공백이 정권 교체기마다 반복되는 ‘고질적 문제’라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한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는 “공공 연구기관 기관장 임명에는 사실상 정치권의 영향이 작용하기 때문에 기관 차원에서 인사 절차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렵다”며 “기관장 공백은 경영 목표 수립과 연구 계획 추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조속한 인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5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is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