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앞당겨 받을 수 있는 유동화 상품에 600건 넘는 신청이 몰린 가운데 신청자들의 평균 월 지급액이 4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18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이 출시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8영업일 동안 5개 생보사(한화·삼성·교보·신한라이프·KB라이프)를 통해 총 605건이 신청·접수됐다. 이들의 평균 신청 연령은 65.6세였고 유동화 비율은 89.2%, 유동화 기간은 7.9년으로 집계됐다. 초년도 지급액 기준으로 약 28억 9000만 원, 1건당 평균 477만 원(월환산 39만 8000원)이 지급됐다.
신청자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춰 유동화 비율(90% 이내)과 기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유동화 비율은 90% 가까이 늘리고 지급 기간을 짧게 해 지급액을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 신청 나이는 65세 이상 70세 미만이 220건으로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65세 미만(174건), 70세 이상 75세 미만(100건), 55세 이상 60세 미만(75건), 75세 이상(36건)이 그 뒤를 이었다.
상품을 신청한 60대 A 씨는 2000년대 초반 가입한 종신보험 사망보험금 3000만 원을 유동화 비율 90%, 지급 기간 5년으로 해 월평균 21만 9000원을 수령하기로 했다. 반면 70대 B 씨는 1990년대 가입한 종신보험 사망보험금 5000만 원을 유동화 비율 90%로 20년에 걸쳐 지급받기로 해 월평균 13만 5000원만 받기로 했다.
생보협회는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이 약 68만 원임을 감안하면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가 국민연금 보완재로 안정적인 노후자금 운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협회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가 해약환급금을 재원으로 하는 점을 안내하는 동시에 비대면 신청 검토 등 제도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m0123@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