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금배추’로 불리며 김장철 최대 부담으로 꼽혔던 배춧값이 최근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 정부가 비축 물량을 방출하고 대규모 할인 지원을 시작하면서 올여름 7000원을 넘겼던 포기 배추 가격이 3000원대 초반까지 내려오고 있다.
1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 기준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3392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달 전 6844원 대비 절반가량(50.4%) 줄어든 수치다.
배춧값은 해마다 조금씩 오르는 흐름을 보였다. 중품 기준 평년 가격은 4022원이며 최근 5년 가격을 보면 2021년 3182원, 2022년 4217원, 2023년 3769원으로 움직였다. 이후 지난해에는 4837원, 올해는 4922원으로 상승했다. 폭염과 호우 피해가 겹쳤던 지난 8월에는 가격이 포기당 7023원까지 급등해 소비자 부담이 커졌다.
추석 이후 정부가 본격적으로 수급 조절에 나서면서 가격 흐름이 반전됐다. 비축 물량이 단계적으로 시장에 투입됐고 할인 행사에 5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배정됐다. 그 결과 전통시장에서 배추 가격은 한 달 만에 7825원에서 5295원으로 떨어졌고 대형마트의 경우 행사 물량이 반영되며 6345원에서 2367원까지 하락했다.
배추뿐 아니라 김장에 필요한 주요 채소 가격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둘째 주 무는 개당 1751원(평년 2219원), 대파는 kg당 2964원(평년 3282원), 양파는 kg당 1923원(평년 2294원)으로 조사됐다. 고춧가루(kg당 2만8786원), 깐마늘(kg당 9007원), 생강(kg당 8516원) 역시 모두 평년 가격보다 낮았다.
정부는 올해 김장 비용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0% 낮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배추 가격 자체는 지난해(3195원)보다 조금 높지만 다른 재료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내려가면서 전체 비용은 오히려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