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006280)는 최근 국내외 학회에서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차세대 메신저리보핵산(mRNA)-지질나노입자(LNP) 플랫폼을 주제로 주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회사 측은 자체 보유한 UTR 특허와 AI 기반 코돈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mRNA의 단백질 발현량과 발현 지속성을 크게 향상했다고 설명했다. . 또한 독자적으로 구축한 LNP 플랫폼은 세포 특이적 전달 효율이 개선됐고, 독성 지표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결과를 확보했다.
GC녹십자는 이러한 mRNA-LNP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독감 등 감염병 백신을 비롯해 항암 백신, 희귀질환 치료제, 유전자 편집, CAR-T와 같은 세포치료제 분야에서도 플랫폼 적용 가능성을 연구 중이다.
특히 GC녹십자의 LNP를 적용한 항암 백신 연구 결과, 벤치마크 대비 더 강한 항원 특이적 CD8+ T 세포 반응을 유도했으며, 동물 모델에서 종양 크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CD8+ T 세포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핵심 면역 세포다. 아울러 자체 mRNA 기술을 활용한 CAR-T 세포치료제 후보 물질이 체외 평가(ex vivo)에서 B세포를 99%까지 제거하는 우수한 결과도 확보했다. 사측은 암과 자가면역질환 치료 분야까지 개발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성훈 GC녹십자 MDD(Medicine Discovery & Development) 본부장은 "mRNA-LNP 플랫폼은 백신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GC녹십자는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혁신 치료제 개발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violato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