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갈등 등으로 중국이 수출 대상 국가를 넓히면서 한국 등 경쟁국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7일 공개한 '최근 중국의 수출국 다변화 가속화 현상 평가' 보고서에서 "미국 관세정책이 완화하더라도 미·중 경쟁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앞으로도 중국은 수출국 다변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수출국 다변화는 단기적으로 대(對)미국 수출 감소를 완충할 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는 신흥시장 등 미국 외 국가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의 영향력을 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대미 수출 급감을 미국 외 국가로 만회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실제로 중국 통관기준 수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올해 1분기 5.6%에서 2분기 6.1%, 3분기 6.5%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올해 2∼3분기 중국의 대미 수출은 26% 줄었지만, 같은 기간 EU·아세안·아프리카 등 미국 외 국가로 수출은 12% 증가했다.
한은은 "중국의 수출국 다변화 가속화로 다른 나라들의 중국산 수입 의존도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 중국 제조업 경쟁력에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경쟁력까지 접목되면 '세계의 공장'으로서 중국의 역할이 더 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국·독일·일본 등 다른 제조업 중심 국가의 어려움은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oon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