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새튼은 인기없는 원숭이 복제 전문가보다는 세간의 관심을 모을 수 있는 인간 줄기세포 전문가로의 자연스런 변신을 유도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마디로 황 교수에게 집중되고 있는 한국내의 과학기술정책과 연구예산이 미국의 원숭이 복제 전문가의 표적이 됐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때맞춰 우리 정부는 황우석 사태의 원인이 됐던 '최고과학자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최고과학자'라는 명칭을 '국가과학자'로 바꾸고, 연구비 지원규모도 연간 30억원에서 최대 10억원으로 축소했다. 지원기간도 최대 5년에서 3년 지원후 평가를 통해 3년 연장하는 방식으로 수정했고, 연구업적만 평가하던 종전 방식에서 과제계획서도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개선안은 새튼과 같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접근하는자 들의 원천적 방어수단으론 부족하나 각계의 의견을 폭넓게 수용해 마련했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우선 최고 과학자 선정 및 지원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이 투명하고도 책임성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치밀하게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정부가 국가과학자를 선정하는 위원회 구성에서 정부쪽 위원을 3명에서 1명으로 줄이고, 대신 민간위원을 7명에서 9명으로 늘린 것은 잘한 일이다.
황우석 사태 때 심각한 문제로 제기됐던 것이 바로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의 역할이었다. '황우석 영웅 만들기'에 앞장섰던 인물이 '최고과학자위원회'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함으로써 선정과 지원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번에 개편ㆍ신설되는 국가과학자위원회에서는 그 같은 과오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선정시스템 개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동시에 연구성과를 평가하는 시스템도 제대로 갖춰야 한다. 전 세계 과학계에 연구부정행위가 만연해 있다는 사실은 이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사이언스'`네이처' 같은 세계적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가짜로 판명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국가과학자에 쏠리는 관심과 기대, 중요성 등을 감안할 때, 이를 선정ㆍ지원하기 위한 평가가 엄정하게 이뤄져야 한다. 국가과학자위원회가 또 다시 '영웅적 과학자' 만들기의 들러리 조직으로 전락해서는 안될 일이다.
박 훈 파퓰러사이언스 편집장
hpark@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