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의 김 모씨는 지난 2001년 이 같은 상황을 최소화해 화장실 위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변기를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
이 소변기의 특징은 내면 정중앙에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돼 있다는 점이다. 많은 남성들이 소변을 보면서 무언가 맞추기를 좋아한다는 심리를 감안, 소변으로 부착물을 맞추도록 유도해 흘림을 방지한다는 것.
부착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출원인은 물레방아와 같이 소변에 맞았을 때 특정한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좀 더 많은 남성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출원인의 주장대로 남성들의 심리를 볼 때 이 소변기가 보급되면 쾌적한 화장실 문화 확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견된다. 특히 이 아이디어는 부착물을 별도로 제작, 기존 소변기에 붙일 수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도 부담이 적다는 게 메리트로 꼽힌다.
하지만 특허청은 이 특허의 등록을 거절했다. 출원인 이후에도 다수의 사람들이 소변기 및 양변기에 온도 변 색 스티커, 광고판 등을 부착하는 방식의 소변 흘림 방지 장치들을 출원했지만 하나 같이 쓴 잔을 들어야 했다. 결과론일지 모르지만 특허나 실용신안 권리를 주기에는 다소 전문성이 떨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