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대기업 계열사 압박 나선 금융당국]공정위·금감원 '동시다발 숨통조이기'...박현주 글로벌행보 제동

금융당국 미래에셋 정조준

금감원 '네이버와 지분 맞교환' 첫번째 잘못된 사례 꼽아

사실상 지주사 전환 또는 대대적 지배구조 개편 주문한 셈

"자본적정성 가장 좋은데..." 석연찮은 당국 움직임에 의아





금융당국의 칼날이 삼성에 이어 미래에셋으로 향했다. 금융그룹 통합감독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주된 타깃은 미래에셋금융그룹이었다. 금융개혁에 속도를 내는 금융당국이 일단은 금융그룹 통합감독 카드를 꺼내 들기는 했지만 속내는 미래에셋금융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으로 보인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그룹 리스크의 주요 유형은 실명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셋금융그룹이었다. 금융당국은 미래에셋이 투자목적자산으로 분류한 네이버와 자사주 맞교환, 국내 자본시장의 글로벌화의 모델이라고 치켜세웠던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인수까지 문제 삼았다. ‘글로벌 1등 기업에 투자하라’는 박현주 회장의 행보는 금융당국의 규제에 다시 발목이 잡혔다.

금감원은 미래에셋대우(006800)와 네이버 간 지난해 1조원의 지분 맞교환을 모든 금융그룹 가운데 첫 번째 잘못된 사례로 지목했다.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는 지난해 6월 서로의 자사주 5,000억원씩 맞투자했다. 두 회사는 공식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협업이라고 밝혔지만 그해 9월 국정감사에서는 가공자본을 키운 꼼수라는 지적을 들었다. 의결권이 없는 자사주를 상대방이 보유하게 하면서 의결권을 살렸고 서로 맞바꾼 자사주를 매각할 때는 정해진 대상에 팔도록 특약을 걸었다. 순수한 투자가 아니라 ‘자사주의 마법’ ‘파킹 거래’라는 의심을 산 것이다. 특히 미래에셋대우는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를 받기 위해 자기자본을 늘려야 했지만 자사주는 자기자본 산정에서 불리하다. 미래에셋대우는 자사주를 네이버와 맞바꿔 보통주로 만들면서 사실상 같은 자본인데 주인만 바꿔 질이 높아진 것처럼 만들었다. 자기자본으로 덜 인정받는 자사주를 보통주인 것처럼 바꾼 미래에셋대우는 그만큼 자본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금융그룹의 통합감독 대표회사인 미래에셋대우는 “네이버 주식이 투자목적자산으로 분류돼 투자에 따른 위험을 누락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2016년 약 2,500억원 규모로 미래에셋캐피탈의 유상증자에 참여한 것도 문제 삼았다. 금감원은 모회사(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차입해 자금을 마련한 후 계열사(미래에셋캐피탈)에 출자 지원했는데 모회사에는 차입금 상환압력 등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룹 외부에서 수혈하는 신규 증자자금과 자기자본으로 활용하는 데 차이가 있으므로 자본의 질이 낮다는 평가다. 미래에셋대우는 이에 대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증자에 참여할 때는 위험성이 높은 신종자본증권을 활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일부 보험사들이 최근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 자본을 확충하면서 위험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리가 높은 대신 보장성이 낮은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는 그룹 내 지원이 아니어도 투자한 기업이나 투자받은 금융회사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ETF 운용사인 글로벌X 인수를 문제 삼은 것은 업계에서도 의외라는 반응이다. 미래에셋대우·미래에셋자산운용 등 미래에셋그룹 계열사는 특수목적회사(SPC)에 5,300억원을 출자해 글로벌X를 인수했다. 금감원은 개별 금융사 기준으로 감독 시 SPC에 대한 출자가 일반 투자로 인식돼 SPC의 존재나 이를 통한 해외 자회사 인수를 확인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미래에셋대우는 “글로벌 X에 출자하는 출자금액은 증권업 자본규제상 영업용 순자본에서 과대계상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이 미래에셋을 타깃으로 삼은 배경에는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미래에셋이 지난 20년간 급성장한 데 비해 지배구조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고 그 과정에서 오너 일가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나 편법을 동원해 펀드 투자 손실을 고객 자산으로 떠넘긴 게 아니냐는 시장의 의구심을 산 게 첫 번째 원인이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 중에는 편향된 분석도 보인다. 미래에셋그룹은 국내 신용평가사에서 대상이 되는 금융그룹 7곳 중 자본적정성만 놓고 보면 기준인 100%보다 3.3배에서 최고 7배까지 충분하게 쌓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오히려 미래에셋대우는 너무 많은 자본을 쌓아 자본의 효율성에 이 떨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상황에서 금융통합감독에 따라 실제와 반대로 자본이 부족한 금융회사처럼 취급을 받았다. 다만 미래에셋캐피탈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신평사에서도 자본적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당국의 속내는 박 회장 일가가 지분을 직접 들고 있거나 경영권 강화 목적이 의심되는 부문을 짚었기 때문에 사실상 지주회사 전환이나 그에 상응하는 지배구조 체제를 갖추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은 글로벌 기업과 공개하지 않고 일사천리로 진행하는 빅딜을 하려면 협상 과정을 일일이 금융당국에 허락받아야 하는 현 지주회사 규제는 도입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해외 대형 금융그룹들이 지주회사 체제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미래에셋그룹은 “미래에셋대우를 대표이사로 선정해 그룹위험관리팀을 신설했으며 모범규준 시행에 맞춰 잘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미래에셋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