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만성환자 3년새 35%↑…도드라진 두드러기

9세이하 발병 많고 50대 40대 順

만성 평균 유병기간 19개월 달해

임의로 약 끊으면 재발위험 높아져

뜨거운 목욕·과한 운동·음주 금물





두드러기는 우리나라 인구의 20%가량이 평생 적어도 한 번 경험하는 피부질환이다. 벌레에 물렸을 때처럼 피부가 몹시 가렵고 부풀어오르는 일시적 부종(팽진)과 주변의 붉은 기운(홍반)이 특징이다. 피부부종의 크기는 수 ㎜에서부터 손바닥보다 더 큰 것까지 다양하다. 병변이 서로 융합돼 지도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몸의 어느 부위에든 나타날 수 있다.

지난해 두드러기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사람은 252만명으로 2010년 216만명보다 17% 증가했다. 여성이 140만명으로 56%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남녀 모두 9세 이하가 가장 많고 50대, 40대 순이다. 9세 이하에선 남자 아이가 27만여명으로 여자 아이(24만여명)보다 많았다.

두드러기는 곤충에 물리거나 꽃가루, 동물의 분변·털, 먼지, 음식물, 감염, 약물이나 방사선 검사용 조영제, 샴푸·화장품의 방부제·향료 등의 피부접촉, 갑작스런 심부 체온변화, 자외선(일광), 기계적·물리적 자극 등 다양하다. 그래서 원인을 찾지 못할 경우가 많다.



두드러기는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두드러기는 수 시간 정도 지속되다가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약물치료로 잘 호전되고 회복도 빠르다. 만성 두드러기는 심한 가려움증과 확연히 드러나는 피부부종, 화끈거리는 통증이 6주 이상 지속된다. 특히 증상이 자꾸 반복되고 평균 유병기간이 19개월이나 돼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매일 발생하는 지속형,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간헐형으로 나눌 수 있다. 여러 가지 검사를 해도 70~80%는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어 ‘특발성 두드러기’로 분류된다.

박영민 가톨릭의대 피부과 교수(대한피부면역학회 회장)는 “두드러기는 일반 가려움증과 증상이 비슷하므로 방치하기 쉬운데 부종·발진 등의 증상이 동반되거나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피부과학회에 따르면 만성 두드러기 연간 유병률은 2010년 2.6%(3만6,910명)에서 2013년 3.5%(5만405명)로 35% 증가했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90%는 동반질환을 갖고 있었다. 가장 빈번한 동반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이었으며 약물 알레르기, 천식, 갑상선질환, 암 순이었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천식 유병률은 35.8%로 만성 두드러기 증상이 없는 대조군(11.5%)의 3.1배나 됐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 10명 중 8명은 증상이 1년 이상 지속됐다. 증상이 1년 안에 사라지는 환자는 22%에 그쳤고 2~5년 안에 사라지는 경우도 33~44.6%에 그쳤다.

서성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피부과학회 회장)는 “급격한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른 생활습관 변화, 의료 서비스 접근성 증가 등으로 만성 두드러기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방치할수록 증상이 악화되고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고 말했다.

두드러기 치료에 가장 중요한 약물은 항히스타민제다. 급성 두드러기가 심해 호흡곤란이 있을 때는 항히스타민제와 에피네프린 피하주사를 하기도 한다. 만성 두드러기엔 아스피린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지 않는다.



조남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두드러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을 찾아내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이지만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대증치료를 한다”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는 더운 목욕, 과도한 운동, 술 등은 피하는 게 좋다”고 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만성 두드러기는 식품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X

특정 음식에 의한 만성 두드러기는 매우 드물다. 국내 만성 두드러기 환자에서의 식품 알레르기를 다룬 논문들에 따르면 과거 식품 알레르기 이력이 있는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경우 유병기간이 좀더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매일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가성 알레르겐’ 제한식이를 해볼 수 있다. 가성 알레르겐이란 진짜 알레르기 반응과 유사한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식품첨가물·과일·야채·향료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관성을 알기 위해서는 3주 이상 가성 알레르겐 제한식이를 시행해 두드러기의 호전 여부를 평가한다. 효과가 있으면 3~4개월 이상 유지한다.

-피부 가려움증·부종과 더불어 복통·설사·구토 등 위장관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두드러기보다 식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O

두드러기는 구토·설사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드물다. 오심·복통·설사·구토 등 위장관 증상이 있다면 식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만성 두드러기는 완치할 수 없다? 치료제는 증상이 있을 때만 복용하면 된다. X

3개월 이상 꾸준히 약을 먹으면 완치될 수 있다. 졸음 등의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를 먼저 사용한다. 1~2주 정도 사용해보고 효과가 없으면 다른 종류의 항히스타민제를 추가하거나 용량을 늘려본다. 증상이 없다고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