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39%↑)
증권 News봇 2025.08.13 13:30:1413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97p(+0.63%) 상승한 3209.88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3.03%), 전기전자업(+1.39%), 의약품업(+1.13%)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72%), 음식료품업(-2.60%), 오락·문화업(-1.5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3,450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522억, 기관은 64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진디스플(020760)이 29.94% 오른 1,033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19.54%), 비에이치(090460)(+18.2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1.09%), 선진(136490)(-9.95%), 경동나비엔(009450)(-9.4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43개, 하락종목은 54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44%↑)
증권 News봇 2025.08.13 13:00:1313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26p(+0.67%) 상승한 3211.17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78%), 전기가스업(+1.52%), 전기전자업(+1.44%)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57%), 음식료품업(-2.21%), 오락·문화업(-1.6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3,43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514억, 기관은 53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20.87% 오른 18,820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20.28%), 케이씨텍(281820)(+9.3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0.65%), 경동나비엔(009450)(-9.09%), 선진(136490)(-8.9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46개, 하락종목은 52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55%↑)
증권 News봇 2025.08.13 12:30:1013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32p(+0.67%) 상승한 3211.23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79%), 전기전자업(+1.55%), 전기가스업(+1.51%)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94%), 음식료품업(-2.20%), 오락·문화업(-1.6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3,15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221억, 기관은 57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18.75% 오른 18,490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16.13%), 케이씨텍(281820)(+9.5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0.65%), 경동나비엔(009450)(-8.98%), 선진(136490)(-8.9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37개, 하락종목은 54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209.80, 상승세(▲19.89, +0.62%) 지속
증권 News봇 2025.08.13 12:00:28코스피시장이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13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89p(+0.62%) 오른 3209.80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87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615억, 기관은 76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업(+2.77%), 전기가스업(+1.61%), 전기전자업(+1.56%)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건설업(-3.13%), 음식료품업(-2.29%), 오락·문화업(-1.75%)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18.05% 오른 18,380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16.04%),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9.7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2.61%), 경동나비엔(009450)(-9.09%), 선진(136490)(-8.2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31개, 하락종목은 54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58%↑)
증권 News봇 2025.08.13 12:00:1213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92p(+0.62%) 상승한 3209.83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73%), 전기가스업(+1.59%), 전기전자업(+1.58%)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3.12%), 음식료품업(-2.27%), 오락·문화업(-1.6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87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615억, 기관은 76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17.98% 오른 18,370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16.13%), 케이씨텍(281820)(+9.6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2.61%), 경동나비엔(009450)(-9.09%), 선진(136490)(-8.3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26개, 하락종목은 54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32%↑)
증권 News봇 2025.08.13 11:30:1113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24p(+0.51%) 상승한 3206.15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92%), 전기가스업(+1.70%), 전기전자업(+1.32%)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97%), 음식료품업(-2.21%), 오락·문화업(-1.5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52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832억, 기관은 1,15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17.53% 오른 18,300원을 기록 중이고, LG디스플레이(034220)(+14.29%), 케이씨텍(281820)(+9.9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2.61%), 선진(136490)(-8.73%), 경동나비엔(009450)(-8.4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37개, 하락종목은 54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1.94%↑)
증권 News봇 2025.08.13 11:00:1013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53p(+0.39%) 상승한 3202.44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3.00%), 전기가스업(+1.94%), 전기전자업(+1.26%)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3.39%), 음식료품업(-2.11%), 오락·문화업(-1.4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32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559억, 기관은 1,16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19.20% 오른 18,560원을 기록 중이고, 인바이오젠(101140)(+12.22%), LG디스플레이(034220)(+10.6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3.43%), 선진(136490)(-7.96%), 에이피알(278470)(-7.2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13개, 하락종목은 56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늘의 메모[8월 14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5.08.13 10:32:34<코스피> ▲보통주추가상장=키움증권(039490)(주식의종류변경) 크래프톤(259960)·셀트리온(068270)(주식매수선택권행사) <코스닥> ▲구주주유상청약=강스템바이오텍(217730) ▲실권주청약=텔콘RF제약(200230)(주관사 상상인) ▲보통주추가상장=케이엠더블유·파인디앤씨·올릭스·아스트·에이비온·협진·옵티코어·폴라리스세원(국내CB) 엑시온그룹(069920)(유상 제3자배정) 현대무벡스·오가노이드사이언스(주식매수선택권행사) 현대바이오(048410)(무상) ▲상호변경=키움제8호스팩→지슨 ▲주권변경상장=매커스(093520)(주식소각) ▲신규상장=지투지바이오(456160) 교보18호스팩(0041B0)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09%↑)
증권 News봇 2025.08.13 10:30:0813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01p(+0.19%) 상승한 3195.92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31%), 전기가스업(+1.41%), 운수창고업(+1.10%)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79%), 음식료품업(-2.39%), 오락·문화업(-1.2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1,85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47억, 기관은 1,22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바이오젠(101140)이 22.05% 오른 11,790원을 기록 중이고,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9.76%), 진원생명과학(011000)(+9.4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1.96%), 선진(136490)(-8.96%), CJ제일제당(097950)(-6.5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89개, 하락종목은 57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김병기 "국정기획위 123개 국정과제, 입법으로 뒷받침"
정치 정치일반 2025.08.13 10:26:38이재명 정부의 국정 5개년 청사진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가 13일 국정운영 계획을 발표하는 가운데,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23개 국정과제를 입법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모든 과제가 임기 내 반드시 실행되도록 입법으로 든든하게 뒷받침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123개 국정과제 중 117개는 입법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당과 상임위 차원의 당정협의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어 “우선순위 (과제의) 예산을 꼼꼼히 체크하고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성과를 만들겠다. 국민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진짜 대한민국이 열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정기획위 활동에 대해서도 “300회 이상의 현장방문과 700회를 넘는 회의, 1만 3000건의 국민 제안이 모여 123개 국정 과제와 564개 실천과제가 완성됐다”며 “인공지능(AI) 3대 강국, 잠재성장률 3%, 세계 5강의 국력, 코스피 5000 시대, 에너지 고속도리 신설, 기본사회실현, 생명과 안전중시의 사회정책 등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약속이 고스란히 담겼다”고 평가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는 이날 오후 대국민 보고대회를 열고 국정운영 청사진을 공개한다. 행사는 국민 누구나 보고 들을 수 있게 생중계된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부동산업(0.09%↑)
증권 News봇 2025.08.13 10:00:0913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76p(+0.27%) 상승한 3198.67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28%), 전기가스업(+1.48%), 운수창고업(+1.13%)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22%), 음식료품업(-1.88%), 오락·문화업(-1.6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부동산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98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68억, 기관은 1,07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바이오젠(101140)이 23.60% 오른 11,940원을 기록 중이고, 진원생명과학(011000)(+9.63%), 케이씨텍(281820)(+7.9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HDC현대산업개발(294870)(-12.83%), 선진(136490)(-6.81%), YG PLUS(037270)(-6.5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13개, 하락종목은 54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3225.40.. 개인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35.49, +1.11%)
증권 News봇 2025.08.13 09:05:03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반전했다.13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5.49p(+1.11%) 오른 3225.40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574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21억, 기관은 42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2.73%), 전기전자업(+1.63%), 증권업(+1.47%)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0.15%), 통신업(-0.14%), 부동산업(-0.01%)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대웅(003090)이 16.01% 오른 25,000원을 기록 중이고, TCC스틸(002710)(+8.92%), 신풍제약우(019175)(+7.5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현대약품(004310)(-3.17%), 한국공항(005430)(-2.08%), 전진건설로봇(079900)(-2.0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68개, 하락종목은 15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 35.49포인트(1.11%) 오른 3225.40 출발
증권 News봇 2025.08.13 09:04:07[코스피] 35.49포인트(1.11%) 오른 3225.40 출발 -
'반도체·상사株 훈풍' 닛케이 1년 만에 사상 최고…'양도세 발목' 코스피 3200 내줘
증권 정책 2025.08.12 18:10:35일본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가 약 1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고 실적 개선 기대감이 반영된 효과다. 반면 국내 증시는 상승세를 보이다 세제 개편안을 둘러싼 경계감으로 인해 하락 마감했다. 12일 닛케이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2.15% 오른 4만 2718엔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지난해 7월 11일 세운 종가 기준 최고치인 4만 2224엔을 1년여 만에 갈아치웠다. 닛케이지수는 이날 장중 한때 4만 2999엔까지 올랐다. 올해 4월 초 미국 관세정책 여파로 3만 1000엔 선까지 떨어졌으나 미일 관세 협상 마무리 이후 연일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닛케이지수가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미일 합의에 따른 정책적 불확실성 감소에 기업들의 실적 호조가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올 4~7월까지 미국 증시가 강세를 보이자 닛케이지수도 동반 상승했는데 최근에는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과 기관투자가들의 포지션 전환이 상승 요인이 됐다. 소프트뱅크그룹·어드반테스트·도쿄일렉트론 등 반도체 관련주와 미쓰이물산을 비롯한 상사(商社) 관련주가 이날 상승을 주도했다. 전일 대비 엔·달러 환율이 오른 점도 주가 상승에 보탬이 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신중한 자세를 보이는 투자자도 주식을 ‘사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반면 코스피지수는 장중 3240대까지 올랐다가 전 거래일 대비 0.53% 내린 3189.91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6일 이후 4거래일 만에 또다시 종가 기준 3200선을 내준 것이다. 대통령실에서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과 관련,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며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시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KB금융(1.24%), 신한지주(0.86%), 미래에셋증권(1.96%) 등 증권·금융주는 장 초반 여당이 현행 50억 원 기준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4~5%까지 상승했으나 대통령실 입장이 나온 뒤 오름폭을 줄인 채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조선·방산·화장품 등 주도주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을 하기도 했다.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4.66포인트(0.57%) 내린 807.19에 장을 마치며 7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다. -
[여명] 지긋지긋한 부자감세 프레임
오피니언 사내칼럼 2025.08.12 18:05:02‘국장(한국 증시)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조롱이 유행했던 게 불과 1년 전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유동성이 넘치던 2021년 이후 3년간 코스피는 ‘삼천피’는커녕 2000선 중반대에 갇혀 박스피를 면하지 못했다. 수익률을 찾아 나선 똑똑한 투자자들은 테슬라나 엔비디아에 투자하는 서학개미가 됐다. 삼성전자보다는 차라리 비트코인에 눈을 돌린 젊은 투자자들도 많았다. 올해 6월 새 정부 출범으로 정치 불확실성이 걷히자 코스피는 빠르게 상승했다. 두 달도 채 안 돼 3000·3100·3200까지 차례로 돌파했다. 하지만 정책 기대감 속에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가 일부 걷힌 효과는 여기까지였다. 고점에 가까워질수록 추가 상승 동력보다는 ‘다시 떨어지겠지’라는 불신 속에 차익 실현 움직임이 커지면서 새 모멘텀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며 부동산에서 주식으로의 ‘머니무브’를 강조했다. 코스피가 올 들어 전 세계에서 최고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부동산 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킬 좋은 기회가 찾아오는 듯했다. 하지만 기획재정부의 ‘2025 세제 개편안’은 투심을 급속히 냉각시켰다. 특히 배당소득 분리과세에 대한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의 실망감은 크다. ‘부자 감세’를 의식해서인지 조건을 너무 까다롭게 설정해 ‘당근’ 효과가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분리과세 대상이 되는 상장사는 순이익의 40% 이상 배당 또는 25%보다 많으면서 직전 3년 평균보다 5% 이상 현금 배당이 늘어나야 한다. 업계에서는 이를 충족할 기업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게다가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은 35%(지방소득세 포함 38.5%)로 당초 예상됐던 25%보다 10%포인트나 높였다. 현행 45%(지방소득세 포함 49.5%) 대비 메리트가 크지 않다 보니 높은 세율 때문에 주식 투자를 꺼렸던 부동산 부자들이 넘어올 유인책이 전혀 되지 못한다. 대주주 입장에서도 배당 세율이 높으면 배당으로 투자자들에게 돌려주기보다는 차라리 유보를 택하기 마련이다. 상장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낮추는 안도 역풍을 맞았다. 시장에서는 연말마다 세금 회피를 위해 주식을 파는 현상이 되풀이돼 변동성이 커질 것을 우려한다. “서울 아파트 평균값에도 못 미치는 10억 원이 무슨 대주주냐”는 비판도 강하다. 특히 개인 큰손이 많은 코스닥의 시장 왜곡은 더 심각할 수 있다. 큰손이 시장을 떠나면 결국 피해는 소액주주들이 보게 된다.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대주주 양도세 하향 반대 청원’이 단 하루 만에 5만 명의 동의를 받았을 정도다. 윤석열 정부 시절인 2023년 12월 21일 기재부는 주식 대주주 양도세 부과 기준을 종목당 10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완화한다고 깜짝 발표했다. 그해 세법 개정안에 담기지도 않았고, 직전 해에는 100억 원까지 높이려다 야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무산된 정책이었다. 정부는 소득세법 시행령을 개정해 곧장 시행함으로써 그해 말 대주주를 피하려는 대량 매도 부담도 덜어줬다. 당시 기재부는 “국내 자산 간 이동성, 국가 간 이동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판단했다”며 “세수 감소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시각은 1년 반이 지난 이재명 정부의 첫 세제 개편안에서 180도 바뀌었다. 문제의 시작은 윤석열 정부의 감세를 원상 복귀시키겠다는 정치 논리가 우선했던 것이라고 본다. ‘부자 감세’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영원히 ‘박스피’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미 우리나라는 과도한 상속·증여세 부담으로 대주주들이 인위적으로 주가를 누르는 고질병을 갖고 있다. 기업의 보유 현금을 개인에게 분배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려면 대주주에게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더 낮추고 상속·증여세의 유산취득세 전환을 추진하면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을 떨쳐낼 수 있지 않을까. 그것이 기업들이 자발적인 주가 부양에 나서고 미국처럼 시장이 꾸준히 우상향할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첫걸음이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