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0.72%↑)
증권 News봇 2025.08.12 11:30:0812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2.46p(+0.70%) 상승한 3229.23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증권업(+3.97%), 전기전자업(+1.32%), 운수창고업(+1.31%)이며, 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1.22%), 기계업(-0.99%), 오락·문화업(-0.7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67:3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522억, 기관은 10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93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G케미칼(001390)이 13.27% 오른 5,080원을 기록 중이고, 신성이엔지(011930)(+11.80%), 신풍제약우(019175)(+10.0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스맥스(192820)(-13.32%), 시프트업(462870)(-6.67%), SIMPAC(009160)(-5.2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63개, 하락종목은 31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0.83%↑)
증권 News봇 2025.08.12 11:00:0912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6.43p(+0.82%) 상승한 3233.20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증권업(+4.55%), 금융업(+1.57%), 운수창고업(+1.43%)이며, 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1.39%), 기계업(-0.58%), 오락·문화업(-0.5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69:3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703억, 기관은 25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176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G케미칼(001390)이 15.27% 오른 5,170원을 기록 중이고, 엔씨소프트(036570)(+10.86%), 신풍제약우(019175)(+10.6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스맥스(192820)(-12.47%), 시프트업(462870)(-6.44%), 노루홀딩스(000320)(-4.2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76개, 하락종목은 28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통신업(1.00%↑)
증권 News봇 2025.08.12 09:30:0612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65p(+0.68%) 상승한 3228.42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증권업(+2.83%), 보험업(+1.41%), 운수창고업(+1.36%)이며, 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0.81%), 오락·문화업(-0.77%), 기계업(-0.5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통신업이 69:3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통업은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794억, 기관은 10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1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신풍제약우(019175)가 11.49% 오른 26,200원을 기록 중이고, KG케미칼(001390)(+11.48%), 대원전선우(006345)(+10.9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스맥스(192820)(-10.78%), 시프트업(462870)(-5.86%), NHN(181710)(-4.9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26개, 하락종목은 22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삼성운용, 'KODEX 금융고배당TOP10' 신규 상장
증권 정책 2025.08.12 09:08:49삼성자산운용은 주주환원 확대와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금융주에 집중 투자하는 ‘KODEX 금융고배당TOP10 상장지수펀드(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ETF는 금융지주사, 은행, 증권사 등 고배당 성향이 뚜렷한 금융주 가운데 엄격한 재무 요건을 통과한 10개 종목에 선별적으로 투자한다. 편입 종목들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 미만인 종목들로만 구성되어 있어,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에 따른 저평가 해소 기대감이 높다. 또한 금융고배당TOP10 지수의 최근 5년 평균 배당수익률은 연 평균 6% 이상을 기록하고 있어, 코스피 대비 3배 이상의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KODEX 금융고배당TOP10은 지난해 12월 상장된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과 동일한 포트폴리오를 가져가면서도, 커버드콜 전략을 제외해 주가 상승 시 수익을 온전히 따라갈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상품인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은 연초 이후 수익률 40.9%를 기록했으며, 올해 들어 개인들이 2333억 원을 순매수하며 금융주 투자에 대한 높은 수요를 입증했다. KODEX 금융고배당TOP10은 월중 배당을 하는 ETF로서 매월 15일 기준으로 배당금을 지급한다. 따라서 기존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등 월말배당을 지급하는 ETF와 같이 투자한다면 월 2회의 배당을 수취할 수 있게 된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금융주의 역대급 실적과 함께 상법개정, 분리과세 등 정책적인 요인들까지 더해져 금융주가 고배당 투자의 대표주가 됐다”며 “ KODEX 금융고배당TOP10는 금융주 중에서도 엄격한 선별 기준을 통과한 10종목에 투자한다”고 말했다. -
[코스피] 2.98포인트(0.09%) 오른 3209.75 출발
증권 News봇 2025.08.12 09:06:37[코스피] 2.98포인트(0.09%) 오른 3209.75 출발 -
[개장 시황] 코스피 3209.75.. 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2.98, +0.09%)
증권 News봇 2025.08.12 09:06:03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반전했다.12일 오전 9시 6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98p(+0.09%) 오른 3209.75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업종별로는 통신업(+1.04%), 운수창고업(+0.49%), IT 서비스업(+0.47%)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락·문화업(-0.58%), 화학업(-0.40%), 기계업(-0.26%)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신풍제약우(019175)가 11.49% 오른 26,200원을 기록 중이고, 신풍제약(019170)(+7.58%), DL우(000215)(+4.6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포스코퓨처엠(003670)(-3.25%), STX엔진(077970)(-2.92%), 전진건설로봇(079900)(-2.7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90개, 하락종목은 22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사설] “폭발적 혁신 무장한 K자본주의” 찬사도 기업 옥죄면 공염불
오피니언 사설 2025.08.12 00:00:00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가 “폭발적인 혁신과 창의성으로 무장한 K자본주의로 미국의 관세정책을 극복할 수 있다”며 한국 경제의 실력을 높게 평가했다.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빈슨 교수는 한국전쟁 뒤 폐허에서 출발한 한국이 어떻게 고도성장을 이뤘는지 깊게 연구해온 한국 경제 발전사에 정통한 세계적인 석학이다. 그는 11일자 서울경제신문에 실린 창간 65주년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성장의 궤적을 ‘2단계 발전 과정’으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마스가(MASGA)의 뿌리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정치적 전환점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경제적 성취는 없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혁신과 창의의 K자본주의가 K팝을 화장품 산업으로 확장시켰듯이 차세대 혁신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이 혁신성에서 일본을 앞선다는 평가 등은 듣기에 좋다. 하지만 그 속에 담긴 근원적 메시지까지 간과하면 안 된다. 무엇보다 K자본주의의 핵심은 기업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나 요즘 정부와 여당은 기업에 부담을 주는 법안을 밀어붙이며 혁신의 싹을 자르고 있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11일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세제 개편안의 10억 원이 아닌 50억 원으로 유지하자는 입장을 대통령실과 정부에 전달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과제인 ‘코스피 5000’과 배치되고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법안은 재검토해 거둬들여야 마땅하다. 정부와 대통령실도 “추이를 지켜보겠다”면서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시장의 요구에 순응해야 한다. 우리 경제가 폭발적인 혁신을 지속하려면 기업을 옥죄는 법안들을 속히 재정비하고 혁신을 막는 각종 규제는 과감히 걷어내야 한다. 기업을 압박하면서 혁신을 기대한다면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노동 규제와 세제도 정치·이념 논리에 휘둘리면 혁신과 창의의 동력은 꺾일 수밖에 없다. 상호관세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았는데도 8월 1~10일 대미 수출이 14.2% 줄었다. 기업들이 숨 돌릴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노란봉투법, 상법 개정, 법인세 인상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 로빈슨 교수가 강조했듯 미국의 관세정책에는 긴 호흡의 대응이 필요하다.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호흡을 유지하려면 기업의 역동성을 되살려 폭발적인 혁신과 창의가 항구적으로 유지돼야 한다. -
회사 믿고 청약한 직원들, 1년 만에 수익 2.5배 늘어 [이런국장 저런주식]
증권 증권일반 2025.08.11 18:10:57지난해 우리사주조합 공모주 청약 대량 미달 사태 속에서도 회사 공모주 청약에 참여했던 전진건설로봇(079900) 임직원들이 1년 만에 200%가 넘는 수익률을 올리게 됐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콘크리트펌프카(CPC) 제조사 전진건설로봇의 우리사주조합 공모주 청약 물량 7만 6070주(지분율 0.5%)의 보호예수가 이달 20일부터 해제된다. 이날 전진건설로봇 주식은 전 거래일 대비 6.31% 오른 5만 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진건설로봇은 지난해 8월 19일 코스피 시장에 공모가 1만 6500원으로 상장했다. 공모가 대비 247% 수익률이다. 지난해 전진건설로봇 우리사주조합 청약은 대거 미달이 났다. 전체 상장 예정 주식 수(1536만 574주)의 4%에 해당하는 61만 5530주가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됐으나 청약 주문은 7만 6180주만 들어왔으며 이 중에서도 110주의 대금이 들어오지 않았다.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과 일반 청약에서 큰 흥행을 거뒀음에도 정작 회사 임직원들 다수는 우리사주조합 공모주 물량의 보호예수가 풀리는 1년 뒤 회사 주가가 공모가보다 낮을 것이라 판단했던 것이다. 주가는 지난해 10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미국 대선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가 모두 자국 인프라 투자 확대를 공약으로 내걸면서 북미 콘크리트 펌프카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2위를 달리는 전진건설로봇이 수혜주로 떠오른 영향이었다. 이후 전진건설로봇은 우크라이나 재건주로도 분류되며 주가 우상향 곡선을 그렸고 올 2월 13일에는 장중 최고 7만 19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증권가에서는 향후 전진건설로봇의 안정적인 실적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건설·에너지 인프라 중심의 초대형 부양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는 점, 이미 전진건설로봇이 튀르키예 지진 재건 사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글로벌 재건 사업 수주 가능성이 높다. 증권가에서는 올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 늘어난 537억 원, 영업이익은 8.7% 늘어난 104억 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기업 공시 [8월 11일]
증권 국내증시 2025.08.11 16:24:41<코스피 공시> ▲SK스퀘어(402340)=맥쿼리 지분 2만 3504주(0.02%) 감소, 주식 장내매매 및 특별관계자 해소에 따른 변동 ▲하나투어(039130)=국민연금 지분 장내 매도로 12만 4366주(0.80%) 감소 ▲삼양홀딩스(000070)=주주의결권 행사 편의성 제고를 위해 전자투표제 도입 결의 ▲현대글로비스(086280)=국민연금 지분 장내매도로 1만 1469주(0.01%) 감소, 연금 보유 지분 9.99% ▲DL(000210)=DL케미칼, 92만 5895주 2000억 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대호에이엘(069460)=상상인저축은행이 보유한 지분 94만 6682주(2.34%) 감소, 전환사채 일부 전환청구권 행사 후 전환 주식 장내 매도 <코스닥 공시> ▲서희건설(035890)=현직 임원의 횡령, 배임혐의설 사실여부 및 구체적인 내용 조회공시 요구 -
[코스피] 3.24포인트(0.10%) 내린 3206.77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5.08.11 15:34:19[코스피] 3.24p(0.10%) 내린 3206.77 마감 -
[마감 시황]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코스피 3206.77(▼3.24, -0.10%)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5.08.11 15:34:09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전 거래일(3210.01)보다 3.24p(-0.10%) 내린 3206.77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1,424억과 2,143억을 각각 순매도 해 하락장을 주도했으며,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한 외국인은 2,169억을 순매수 했다.업종별로는 증권업(-2.08%), 운수창고업(-1.81%), 전기가스업(-1.70%)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고, 기계업(+2.75%), 철강금속업(+1.06%), 전기전자업(+0.93%)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였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1.11% 내린 7만 1000원에 장을 마감한 가운데, 달바글로벌(483650)(-19.87%), DL(000210)(-12.39%), 코오롱인더(120110)(-9.94%)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코스모신소재(005070)(+13.98%), TCC스틸(002710)(+10.78%), 엘앤에프(066970)(+10.32%)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581개, 상승종목은 299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27:7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유통업(0.32%↓)
증권 News봇 2025.08.11 15:20:2511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79p(-0.02%) 하락한 3209.22로, 27(매도):7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2.15%), 운수창고업(-1.78%), 건설업(-1.63%)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2.78%), 철강금속업(+1.24%), 전기전자업(+1.0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유통업이 7:9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업은 65:3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1,63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1,386억, 기관은 1,63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코스모신소재(005070)가 13.86% 오른 47,250원을 기록 중이고, TCC스틸(002710)(+10.78%), 엘앤에프(066970)(+10.1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19.54%), DL(000210)(-12.39%), 코오롱인더(120110)(-9.9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74개, 상승종목은 31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유통업(0.36%↓)
증권 News봇 2025.08.11 15:00:1811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32p(-0.13%) 하락한 3205.69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2.32%), 전기가스업(-2.05%), 화학업(-1.75%)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2.72%), 철강금속업(+1.05%), 전기전자업(+0.8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유통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업은 72:28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1,33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1,111억, 기관은 1,53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코스모신소재(005070)가 13.13% 오른 46,950원을 기록 중이고, TCC스틸(002710)(+10.78%), 엘앤에프(066970)(+10.5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20.67%), DL(000210)(-12.50%), 코오롱인더(120110)(-9.9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80개, 상승종목은 30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33:6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유통업(0.43%↓)
증권 News봇 2025.08.11 14:30:1511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15p(-0.16%) 하락한 3204.86로, 33(매도):6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2.38%), 전기가스업(-2.05%), 건설업(-1.92%)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2.43%), 전기전자업(+0.87%), 철강금속업(+0.8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유통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업은 67:33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1,160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990억, 기관은 1,37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코스모신소재(005070)가 13.37% 오른 47,050원을 기록 중이고, TCC스틸(002710)(+10.50%), 엘앤에프(066970)(+10.3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19.92%), DL(000210)(-13.15%), 코오롱(002020)(-10.5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09개, 상승종목은 28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34:6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유통업(0.36%↓)
증권 News봇 2025.08.11 14:00:1511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79p(-0.09%) 하락한 3207.22로, 34(매도):6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2.31%), 운수창고업(-1.80%), 건설업(-1.73%)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2.67%), 철강금속업(+1.07%), 전기전자업(+0.8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유통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업은 66:3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1,29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1,416억, 기관은 98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코스모신소재(005070)가 13.49% 오른 47,100원을 기록 중이고, TCC스틸(002710)(+10.91%), 엘앤에프(066970)(+10.1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19.42%), DL(000210)(-14.13%), 코오롱(002020)(-11.3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83개, 상승종목은 31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