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38:6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부동산업(0.14%↓)
증권 News봇 2025.07.24 13:00:1424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45p(+0.23%) 상승한 3191.22로, 38(매도):6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13%), 의약품업(+1.33%), 전기전자업(+1.05%)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4.19%), IT 서비스업(-2.57%), 음식료품업(-1.9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부동산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191억, 기관은 2,29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05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95% 오른 49,250원을 기록 중이고,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56%), 흥국화재우(000545)(+11.4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6.98%), 대상홀딩스우(084695)(-8.32%), OCI홀딩스(010060)(-7.7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178개, 하락종목은 72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부동산업(0.13%↓)
증권 News봇 2025.07.24 12:30:1424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33p(+0.23%) 상승한 3191.10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28%), 의약품업(+1.21%), 전기전자업(+1.06%)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4.03%), IT 서비스업(-2.33%), 음식료품업(-1.9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부동산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059억, 기관은 2,60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17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95% 오른 49,250원을 기록 중이고, 참엔지니어링(009310)(+12.09%), 흥국화재우(000545)(+10.9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6.43%), 태양금속우(004105)(-9.41%), OCI홀딩스(010060)(-8.7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194개, 하락종목은 70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부동산업(0.09%↓)
증권 News봇 2025.07.24 12:00:2324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56p(+0.46%) 상승한 3198.33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44%), 의약품업(+1.51%), 운수장비업(+1.40%)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4.42%), IT 서비스업(-2.30%), 증권업(-2.1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부동산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361억, 기관은 2,91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71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95% 오른 49,250원을 기록 중이고,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41%), 두산퓨얼셀2우B(33626L)(+10.9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7.84%), OCI홀딩스(010060)(-9.16%), 대상홀딩스우(084695)(-7.4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14개, 하락종목은 68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199.29, 상승세(▲15.52, +0.49%) 지속
증권 News봇 2025.07.24 12:00:19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24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52p(+0.49%) 오른 3199.29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361억, 기관은 2,91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71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기계업(+2.37%), 의약품업(+1.52%), 전기전자업(+1.40%)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종이목재업(-4.39%), IT 서비스업(-2.35%), 증권업(-2.07%)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95% 오른 49,250원을 기록 중이고,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34%), 두산퓨얼셀2우B(33626L)(+10.9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7.84%), OCI홀딩스(010060)(-9.16%), 대상홀딩스우(084695)(-7.4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16개, 하락종목은 68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올 상반기 국내 펀드 순자산 137조 '쑥'…집계 이래 최대
증권 국내증시 2025.07.24 11:52:25올해 상반기 동안 공모와 사모를 모두 포함한 국내 펀드의 순자산 총액이 100조 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기 기준으로 국내 펀드의 순자산이 100조 원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펀드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펀드 전체 순자산총액은 1235조 7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1098조 7000억 원) 대비 137조 원(12.5%) 증가했다. 금투협이 데이터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최대 규모다. 직전 최대 기록은 지난해 상반기 기록한 98조 원이다. 공모와 사모 모두 고른 성장을 보였다. 지난달 말 기준 공모펀드의 순자산은 524조 1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435조 5000억 원) 대비 20.3% 증가했다. 사모펀드의 순자산은 711조 6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663조 1000억 원)보다 7.3% 늘어났다. 공모와 사모펀드별 비중은 각 42.4%와 57.6%다. 지난해 말보다 공모펀드의 비중이 2.8%포인트 증가했다. 펀드 유형별로는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올 상반기 동안 40조 원 넘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머니마켓펀드(MMF) 유형 펀드의 순자산이 34조 2000억 원 증가하며 2위를 차지했다. 주식형 펀드의 올 6월 말 기준 순자산은 29조 3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1.9% 증가했다. 올해는 특히 국내 주식형 펀드 순자산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지난달 새 정부 출범 이후 각종 증시 활성화 정책이 쏟아지며 코스피 지수가 연일 연고점을 돌파하며 고공 행진한 영향이다. 올 상반기 기준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은 지난해 말(62조 3000억 원) 대비 34% 증가한 83조 4000억 원을 기록하며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79조 7000억 원)을 다시 앞질렀다. 해외 펀드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 여파로 증시가 올해 상반기 동안 변동 장세를 보이며 주식형보다는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가 매번 지연되며 연 4% 이상의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주식보다는 채권 투자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이날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은 올 상반기 동안 11.3% 증가한 반면 해외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은 반기 기준으로 지난해 말 대비 21.1% 증가했다. MMF 유형 펀드의 순자산은 지난해 말 1조 1000억 원에서 지난달 말 1조 7000억 원으로 60% 가까이 증가했다.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도 가파르게 불어났다. 특히 주식형에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 주식형 ETF의 순자산은 지난해 말(78조 6000억 원) 대비 26.3% 증가한 99조 3000억 원으로 100조 돌파를 눈앞에 뒀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기계업(2.83%↑)
증권 News봇 2025.07.24 11:30:1024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8.11p(+0.88%) 상승한 3211.88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83%), 전기전자업(+1.80%), 의약품업(+1.78%)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4.11%), 증권업(-2.04%), IT 서비스업(-1.8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기계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904억, 기관은 3,10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30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5.59% 오른 47,600원을 기록 중이고, 성문전자우(014915)(+14.76%),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5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6.98%), OCI홀딩스(010060)(-9.05%), 넥센우(005725)(-8.5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67개, 하락종목은 62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부동산업(0.10%↓)
증권 News봇 2025.07.24 11:00:1024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4.88p(+0.78%) 상승한 3208.65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64%), 의약품업(+1.68%), 전기전자업(+1.47%)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3.97%), 증권업(-1.66%), IT 서비스업(-1.5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부동산업이 53:4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734억, 기관은 2,73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69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6.78% 오른 48,050원을 기록 중이고, 성문전자우(014915)(+19.05%),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2.1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6.28%), OCI홀딩스(010060)(-8.74%), 대상홀딩스우(084695)(-7.8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66개, 하락종목은 61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주가 상승' 바이오, CB 전환 봇물…재무건전성 개선
산업 기업 2025.07.24 10:46:00최근 주가가 오른 바이오 기업들의 전환사채(CB)의 전환청구 행사가 잇따르고 있다. 전환청구권이 행사되면 부채가 소멸되고 자본이 증가해 기업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소액주주들은 단기적인 주가 하락 가능성을 우려하지만 근본적인 기업 가치가 높아졌을 경우 주가가 반등하는 흐름도 관측된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퀀타매트릭스(317690)는 이달 들어 총 46억 원 규모의 전환청구권이 행사됐다고 공시했다. 이달 15일에는 2회차 CB 중 약 8억 원, 18일에는 2회차 CB 중 약 38억 원에 대한 전환청구권이 행사됐다. 전환가액은 모두 4542원이다. 국책 연구개발(R&D) 과제를 수주하면서 주가가 급등하자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퀀타매트릭스는 패혈증 환자에게 적절한 항생제를 빠르게 처방하기 위한 진단 기술을 보유했다. 정부는 이를 ‘2025년 바이오 산업기술개발(R&D)’ 사업으로 선정해 총 연구비 약 71억 원 중 57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최근 ‘제2의 파마리서치’로 주목받은 엘앤씨바이오(290650)도 올 5월 총 350억 원 규모의 전환청구권 행사를 공시했다. 엘앤씨바이오의 차세대 스킨부스터 ‘엘라비에 리투오’가 시장에서 화제를 일으켜 주가가 급등한 영향이다. 엘앤씨바이오 관계자는 “애초 2회차 CB 상환을 위해 3회차 CB를 발행했지만 전환청구권이 행사되며 2회차 CB가 모두 소멸했다”고 밝혔다. 미국 소재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사와 1조 8000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에이비온(203400)도 이달 15일에 30억 원 규모의 전환청구권 행사를 공시했다. 올 5월 6000억 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나이벡(138610)은 지난달에 33억 원 규모의 전환청구권이 행사됐다고 밝혔다. 이수앱지스(086890)에 대해서는 이달 들어서만 총 104억 원 규모(7건)의 전환청구권 행사가 이뤄졌다. 전환청구권이 행사되면 기업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B는 이자 지급과 원금 상환 의무라는 채권의 성격 탓에 회계상 부채로 분류되지만 주식으로 전환되면 부채가 소멸되고 자본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관리종목 지정 위험이 있는 상장사의 경우 자본 증가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비율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소액 주주들은 지분 희석과 주가 하락 가능성을 우려한다. 특히 전환가액이 현재 주가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CB 투자자가 즉시 주식을 매도해 단기적으로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근본적인 기업 가치가 올랐을 때는 예외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전환 물량이 전량 매도돼 오버행 이슈를 해소한 엘앤씨바이오 주가의 경우 22일(+9.93%)과 23일(+8.72%) 연이어 상승했다. -
오늘의 메모[7월 25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5.07.24 10:40:29<코스피> ▲신주배정기준일=NH올원리츠(400760)(유상) ▲실권주청약=포스코퓨처엠(003670)(주관사 한국) ▲보통주추가상장=신한서부티엔디리츠(404990)·롯데관광개발·일동제약(국내CB) 셀트리온(068270)(무상) ▲주권변경상장=iM금융지주(139130)(주식소각) <코스닥> ▲공모주청약=하나35호스팩(주관사 하나) ▲신주배정기준일=빌리언스(044480)(유상) 헥토파이낸셜(234340)·현대바이오(무상) ▲보통주추가상장=대창솔루션·센서뷰·애드바이오텍·(국내CB) 나인테크(267320)(국내CB,우선주의 보통주전환) ▲주권변경상장=스튜디오삼익(415380)(주식소각) ▲신규상장=뉴로핏(380550)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기계업(2.97%↑)
증권 News봇 2025.07.24 10:30:1024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3.77p(+0.75%) 상승한 3207.54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2.97%), 의약품업(+1.81%), 전기전자업(+1.61%)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3.77%), IT 서비스업(-1.83%), 증권업(-1.4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기계업이 54:4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험업은 18:8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362억, 기관은 2,60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17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성문전자우(014915)가 29.52% 오른 5,440원을 기록 중이고, SNT에너지(100840)(+29.16%),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7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7.06%), OCI홀딩스(010060)(-8.84%), 태양금속(004100)(-5.6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79개, 하락종목은 60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연고점 경신한 코스피, 한미 통상협상 순연에 상승폭 반납
증권 국내증시 2025.07.24 10:16:34코스피지수가 미국과 일본 간 관세 협상, SK하이닉스(000660)의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에 힘 입어 3230선을 돌파했다. 미국이 일본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면서 증시에도 이 같은 기대가 확산됐지만 한미 협상이 연기됐다는 소식에 상승폭을 반납하고 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께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1.16포인트(0.98%) 오른 3214.93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장중 3237.97까지 상승하며 연고점을 갈아치웠지만 이후 상승폭을 줄이는 모양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쌍끌이 매수에 나서면서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이날 각각 5194억 원, 2385억 원어치를 사들이고 있는 반면 개인투자자는 7616억 원가량 물량을 던지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39억 원, 167억 원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71억 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삼성전자(005930)(-0.45%)와 현대차(005380)(-0.56%)를 제외하고 일제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7000원(2.60%) 상승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중국 배터리 업체 신왕다를 상대로 한 특허침해 소송에서 승소했다는 소식에 7%대 강세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3.85%),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2.42%), KB금융(105560)(1.30%), 기아(000270)(0.38%), 두산에너빌리티(034020)(3.63%) 등도 오름세다. 현대차와 기아가 지수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등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한미 통상 협의가 순연됐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 결과 자동차에 대한 품목 관세를 12.5%로 적용하기로 하자 한국도 비슷한 협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로 현대차와 기아는 전날 각각 7.51%, 8,49% 상승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분위기를 보면 상호관세율 15%가 아직 협상을 완료하지 못한 다른 국가들에게 가이드라인이 된 상황”이라며 “한국도 상호관세율 15%,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 등을 얻어낼 수 있을지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코스닥지수는 이날 전 장 대비 3.65포인트(0.45%) 오른 817.21을 기록하고 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선 알테오젠(196170)(1.46%), 에코프로비엠(247540)(2.65%), 에코프로(086520)(1.67%), 리가켐바이오(141080)(4.79%), 삼천당제약(000250)(8.67%), 에이비엘바이오(298380)(24.47%) 등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펩트론(087010)(-2.02%), HLB(028300)(-0.90%), 파마리서치(214450)(-0.51%)가 약세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7일부터 31일(현지 시간)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5에 참석해 그랩바디-B를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강세다. BBB셔틀은 약물이 뇌혈관장벽을 넘어 직접 뇌에 전달 되도록 하는 플랫폼으로 기존 뇌질환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열쇠로 평가된다. 이날 주가가 급등하면서 에이비엘바이오는 코스닥 시총 10위권에 진입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기계업(3.30%↑)
증권 News봇 2025.07.24 10:00:1024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2.23p(+1.01%) 상승한 3216.00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3.30%), 의약품업(+2.35%), 운수장비업(+1.52%)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2.87%), 섬유의복업(-1.29%), IT 서비스업(-0.8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기계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173억, 기관은 2,37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68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42% 오른 49,050원을 기록 중이고, 성문전자우(014915)(+25.95%),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3.0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13.62%), OCI홀딩스(010060)(-8.12%), 웅진(016880)(-5.8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85개, 하락종목은 48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기계업(4.17%↑)
증권 News봇 2025.07.24 09:30:0624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2.76p(+1.66%) 상승한 3236.53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기계업(+4.17%), 의약품업(+3.71%), 운수장비업(+1.93%)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1.52%), 섬유의복업(-0.63%), 철강금속업(-0.0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기계업이 73:27의 강한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573억, 기관은 1,58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6,17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9.95% 오른 49,250원을 기록 중이고, 성문전자우(014915)(+14.17%),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1.9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대양제지(016590)(-8.92%), OCI홀딩스(010060)(-7.91%), 부광약품(003000)(-5.7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604개, 하락종목은 23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3209.43.. 외국인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25.66, +0.81%)
증권 News봇 2025.07.24 09:05:06코스피가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전일의 상승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24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5.66p(+0.81%) 오른 3209.43로,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1,70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621억, 기관은 8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기계업(+2.84%), 의약품업(+1.32%), 전기전자업(+1.10%)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철강금속업(-0.25%), 전기가스업(-0.21%), 화학업(-0.17%)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SNT에너지(100840)가 26.25% 오른 47,85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제약(249420)(+15.29%), 성문전자우(014915)(+14.1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부광약품(003000)(-7.62%), 코아스(071950)(-3.67%), 넥스틸(092790)(-3.4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03개, 하락종목은 22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 25.66포인트(0.81%) 오른 3209.43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5.07.24 09:02:59[코스피] 25.66포인트(0.81%) 오른 3209.43 출발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