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자녀 1명당 210만원 드립니다"…'저출산 탈출 몸부림' 中 꺼낸 특단의 카드
    "자녀 1명당 210만원 드립니다"…'저출산 탈출 몸부림' 中 꺼낸 특단의 카드
    국제일반 2025.07.29 17:13:45
    인구 감소와 내수 부진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중국이 전국 단위로는 처음으로 현금성 육아보조금을 도입한다. 29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등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과 국무원 판공청은 ‘육아보조금 제도 시행 방안’을 발표하고 만 3세까지 영유아 자녀 1인당 연간 3600위안(약 69만6000원)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우선 올해 1월 1일 이후 출생한 자녀부터 적용되며 2022~2024년 출생 아동에게도 일부 금액을 소급 지원한다. 구체적인 지급 시기와 절차는 각 성(省)·자치구&midd
  • 日정부, 기업 M&A 지원하는 8000억 엔 펀드 만든다
    日정부, 기업 M&A 지원하는 8000억 엔 펀드 만든다
    정치·사회 2025.07.29 16:57:55
    일본 정부가 8000억 엔(약 7조 4938억 원) 규모 펀드를 설립해 대기업들의 사업 재편 및 인수합병(M&A) 지원에 나선다. 자국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외국 자본 의존도를 낮춰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산업혁신투자기구(JIC)를 통해 8000억 엔 규모의 기업 지원 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펀드는 JIC의 자회사 형태로 설립되며 1000억 엔을 초과하는 대형 사업을 지원한다. 펀드의 운용기간은 약 10년으로, PE펀드 등과 협력 투자를 통해 민간 자금이
  • 중국, 선전에 세계 최초 로봇 판매 오프라인 매장 열었다[글로벌 왓]
    중국, 선전에 세계 최초 로봇 판매 오프라인 매장 열었다[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7.29 16:49:29
    중국 선전에 세계 최초로 로봇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문을 열었다. 29일 중국 증권시보는 전날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에서 여러 기업 대표와 시민이 모여 '로봇 6S 점포' 개업식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6S 점포’는 중국의 자동차 판매점 모델인 ‘4S 점포’에서 개념이 확장된 것이다. 증권시보는 로봇 6S 점포가 판매와 부품 공급, 애프터서비스, 정보 피드백 등을 가리키는 전통적인 4S 점포에 '로봇 임대'와 '개인 맞춤형 제작'이 더해졌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선전시가
  • 美 장기채 공급 확대…'파월 퇴임' 후로 미뤄
    美 장기채 공급 확대…'파월 퇴임' 후로 미뤄
    경제·마켓 2025.07.29 16:43:21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단기채 중심의 국채 공급을 이어가다가 금리가 떨어지는 시점에 장기채를 발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사실상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퇴임 이후까지 기다린 뒤 장기국채 공급을 늘리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 시간)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발행을 원칙으로 하는 미국 정부의 자금 조달 관행이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시장 안정성을 위해 전체 국채 발행 규모나 장단기 국채 발행 비율 등을 특정 조건
  • 엔비디아, TSMC에 中수출용 'H20' 30만 개 신규 생산 주문
    엔비디아, TSMC에 中수출용 'H20' 30만 개 신규 생산 주문
    정치·사회 2025.07.29 15:50:54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TSMC에 중국 수출용 H20칩 30만 개를 신규 주문했다. 2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엔비디아가 중국 내 수요 대응을 위해 지난주 TSMC에 새로 생산 주문을 했으며, 이는 재고로 갖고 있던 제품을 판매하던 기존 방식과 다른 양상이라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H20칩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을 피하기 위해 개발한 저사양 칩이다. 미국 정부는 지난 2023년 말 국가안보를 이유로 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H20은
  • "저거 '아이폰17 프로' 맞지?"…야외 포착 사진에 '카메라 성능' 기대감 '쑥'
    "저거 '아이폰17 프로' 맞지?"…야외 포착 사진에 '카메라 성능' 기대감 '쑥'
    정치·사회 2025.07.29 15:30:03
    9월 공개를 앞둔 애플의 차세대 모델 ‘아이폰17 프로’가 야외에서 테스트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는 주장이 나오며 화제다. 동시에 프로 모델의 카메라 성능이 전작보다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디자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대를 모으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맥루머스 등 미 IT전문매체에 따르면 아이폰17 프로와 프로 맥스 모델에는 최대 8배 광학 줌이 지원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아이폰16 프로 맥스가 5배 줌까지 지원하는 것을 감안하면, 카메라 성능이 대폭 향상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삼성 갤럭시 S23 울트라가 제
  • 日기업 해외진출 가속화…노젓는 日메가뱅크[글로벌 왓]
    日기업 해외진출 가속화…노젓는 日메가뱅크[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7.29 15:23:54
    일본 3대 메가뱅크의 해외 대출 잔액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 기업들이 해외 시장 진출을 늘리며 생산 시설 확장이나 현지 기업과의 제휴 등 사업을 확장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미쯔비시UFJ금융그룹과 미쓰이스미토모금융그룹, 미즈호금융그룹 등 대형 그룹 산하 은행들의 해외 대출 잔액이 지난 3월말 기준 약 102조 엔(957조 1782억 원)을 기록해 2년 연속 100조 엔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이들 메가뱅크들은 2010년대 초반 미국에서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한 이후 유럽과 미국 은행들
  • '특허 가치의 최대 5%' 美, 수수료 부과 검토
    '특허 가치의 최대 5%' 美, 수수료 부과 검토
    정치·사회 2025.07.29 15:21: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특허 보유자에게 특허 가치의 최대 5%에 달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막대한 정부 적자를 메우려는 조치지만 글로벌 기술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혁신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28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하워드 러트닉 장관의 주도로 특허 가치의 1~5%를 수수료로 부과하는 새로운 제도 도입을 살피고 있다. 현재 미국 내 특허 보유자는 수천 달러에서 최대 약 1만 달러의 정액 수수료를 수년에 걸쳐 나눠 내고 있다.
  • [영상] Z폴드7 펼친 뒤 반대로 힘껏 꺾어봤다…극한 테스트 결과 "이건 흑마법이야!"
    [영상] Z폴드7 펼친 뒤 반대로 힘껏 꺾어봤다…극한 테스트 결과 "이건 흑마법이야!"
    국제일반 2025.07.29 14:34:54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7가 한 IT 유튜버의 '극한' 내구성 테스트를 무사히 통과했다. 28일 942만명 구독자를 지닌 유튜버 '제리릭에브리띵'은 "지금까지 출시된 폴더블 제품 중 가장 얇은 제품을 테스트할 시간이다, 곧 일어날 일 때문에 약간 죄책감을 느낀다"라며 이달 25일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7를 화면 앞으로 가져다 놨다. 제리릭은 Z폴드7의 전원을 켠 뒤 이리저리 살펴본 뒤 "이 휴대폰의 두께는 사실 놀랍다&
  • 관세청, 올 상반기 2.7t 마약 적발…"중량 기준 역대 최대"
    관세청, 올 상반기 2.7t 마약 적발…"중량 기준 역대 최대"
    경제·마켓 2025.07.29 14:17:27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단계에서 총 617건, 2680㎏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적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하고 중량은 800% 늘어난 수준이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적발량이기도 하다. 이는 약 8933만 명이 필로폰을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특히 중남미발 대규모 마약밀수 적발이 늘어난 게 특징이다. 4월 강릉 옥계항 1690㎏과 5월 부산신항 600㎏의 코카인 적발도 각각 페루, 에콰도르에서 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 인도産 스마트폰, 美서 中 제쳤다…점유율 첫 1위
    인도産 스마트폰, 美서 中 제쳤다…점유율 첫 1위
    경제·마켓 2025.07.29 12:38:34
    인도산 스마트폰이 미국 시장에서 최초로 중국산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애플이 생산 공장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시장에서도 고전하고 있는 애플은 처음으로 중국 내 직영 매장 폐점을 결정했다. 29일(현지 시간) 미 CNBC는 리서치 업체 캐널리스를 인용해 2분기 미국으로 수입된 스마트폰 가운데 인도산 비중이 44%로 1년 전인 지난해 2분기(13%)보다 3배 이상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반해 중국산 비중은 같은 기간 61%에서 25%로 크게 줄었
  • 中 '군부2위' 장유샤, 파키스탄 육참총장에 시진핑 구상 전달
    中 '군부2위' 장유샤, 파키스탄 육참총장에 시진핑 구상 전달
    정치·사회 2025.07.29 11:52:58
    중국 군부 서열 2위인 장유샤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아심 무니르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원수)를 만나 시진핑 국가주석의 구상을 전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최근 ‘시진핑 실각설’의 근거로 장 부주석이 군권을 장악했다는 루머가 확산됐지만, 이번 보도를 통해 군부 내 권력투쟁 등은 사실이 아니라는 점이 입증된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중국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는 장 부주석이 지난 25일 베이징을 방문한 무니르 육군참모총장을 만나 원수 진급을 축하하며 “중국과 파키스탄의 군사 관계는 양국 관계의 중요한 기둥”이라며 “양국 지도자들이 합
  • “왜 좋은 아이디어는 PPT에서 사라지는가"…'안티 파워포인트'의 반란
    “왜 좋은 아이디어는 PPT에서 사라지는가"…'안티 파워포인트'의 반란
    기업 2025.07.29 11:20:00
    마이크로소프트(MS)의 파워포인트(PPT)가 1987년 출시된 이후 40년 가까이 발표 도구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지만 발표 자료를 만드는 데 들이는 수고는 줄지 않았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안티 파워포인트’를 외치며 2023년 출시된 인공지능(AI) 슬라이드 제작 서비스 감마(Gamma)는 빈 PPT 슬라이드 공포증부터 해결했다. 발표 대본이나 개요를 첨부하면 템플릿 디자인, 레이아웃, 시각 효과까지 고려해 AI가 PPT를 제작해주는 방식이다. 회의 시간에 동료의 발표 자료를 본 이들이 묻기 시작했다. “뭘로 만들었어?” 결국 별
  • "삼성, 테슬라 22조원 수주로 부진했던 파운드리 사업 강화 기회" <로이터>
    "삼성, 테슬라 22조원 수주로 부진했던 파운드리 사업 강화 기회" <로이터>
    국제일반 2025.07.29 11:16:30
    삼성전자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와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그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을 강화할 기회를 갖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7일 밤 텍사스 테일러에 있는 삼성의 새 반도체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이는 주요 고객 유치와 유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랫동안 지연돼온 삼성의 파운드리 프로젝트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EU “美 에너지 7500억弗 사겠다”…시장선 “그게 되나?”[글로벌 왓]
    EU “美 에너지 7500억弗 사겠다”…시장선 “그게 되나?”[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7.29 11:16:19
    유럽연합(EU)이 7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한 약속은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를 이행하려면 EU는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현재보다 2배 이상 늘리거나, 에너지 가격이 대폭 상승해야 하는데 두 조건 모두 충족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다. 28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EU가 3년 간 매년 2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석유·천연가스·핵연료 등을 구매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려면 현재보다 에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