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제일반최신순인기순

  • 중국,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로 맞불
    중국,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로 맞불
    국제일반 2025.04.10 21:28:15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에 대한 맞불 수단으로 중국이 할리우드 영화 수입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전통적인 무역 보복 수단이 아닌 ‘문화 수입 제한’ 카드를 꺼낸 것이다. 10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영화국은 홈페이지에 게시한 질의응답 형식의 입장문을 통해 “미국 영화 수입량을 적절히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영화국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함부로 관세를 부과하는 잘못된 행동은 국내 관객의 미국 영화에 대한 호감도를 더욱 떨어뜨릴 것”이라며, “시장 원칙과 관객의 선택을 존중해 이 같은 조치를 취하게 됐다
  • "그 돈을 주고 일본? 차라리 다른 데 가지”…한국인 발길 '뚝' 무슨 일?
    "그 돈을 주고 일본? 차라리 다른 데 가지”…한국인 발길 '뚝' 무슨 일?
    국제일반 2025.04.10 18:35:29
    엔화가 1000원대를 돌파하면서 일본 여행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10일 교원투어에 따르면 올해 5월 초 황금연휴(5월1일~6일) 출발 기준 일본여행 예약량은 전년 대비 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비중은 전년 대비 3.8% 감소했다. 예약 순위 역시 지난해 3위를 차지하던 일본이 5위로 떨어졌다. 법무부 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2월 일본을 찾은 한국인 방문객 수는 81만 5231명으로 전월(93만 5815명) 대비 12.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간 엔화가 850원~910원대로 약세를 보이며 일본 여행 시장은
  • 中 "관세 협박에 두 번은 안 당한다"…희토류·지재권 등 반격카드 총동원
    中 "관세 협박에 두 번은 안 당한다"…희토류·지재권 등 반격카드 총동원
    국제일반 2025.04.10 17:44:5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1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즉각 84%의 보복관세로 응수했다. 동시에 위안화 가치를 1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리며 수출 타격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적 대응에도 나섰다. 통상 분쟁을 넘어 기술 패권과 경제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 간 전방위 충돌이 본격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허융첸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을 향해 “대화를 원한다면 문은 열려 있다. 하지만 상호 존중과 평등한 태도가 전제돼야 한다”며 “싸움을 원한다면 끝까지 싸우겠다. 압력과 위협·협
  • 韓, 90일 벌었지만…'협상 중 파트너 교체' 우려도
    韓, 90일 벌었지만…'협상 중 파트너 교체' 우려도
    국제일반 2025.04.10 16:40:2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집중 공세로 일단 관세 전쟁의 방향을 선회하면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당장 25%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피해 90일의 유예 기간을 갖게 된 것은 호재이지만 기본관세 10%에다 자동차·철강 등에 대한 품목관세(25%)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해 정교한 손익계산서를 뽑기가 쉽지 않다는 게 기업인들의 하소연이다. 여기에 양국의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한국의 직간접적 타격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협상 시한이 90일로 연장되면서 현재 정부가 협상의 전권을 쥐기도 힘들어 도리어
  • "50억弗 대어 CATL 온다"…홍콩증시 '활력 찾나' 기대감
    "50억弗 대어 CATL 온다"…홍콩증시 '활력 찾나' 기대감
    국제일반 2025.04.10 15:49:52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 업체인 중국 CATL이 홍콩 증시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CATL은 올 7월까지 홍콩 증시 상장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최대 2억 2017만 주를 신주 발행해 50억 달러(약 6조 70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다. 2021년 1월 콰이쇼우테크놀로지(62억 달러) 상장 이후 최대 규모다. CATL은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 업체로 2018년 6월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현재 시가총액은 9645억 위안(약 9조 6000억 원)에 달한다. 이
  • 재심사하라더니…트럼프 "日에 US스틸 넘기는 거 원치 않아"
    재심사하라더니…트럼프 "日에 US스틸 넘기는 거 원치 않아"
    국제일반 2025.04.10 15:23:5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제철의 미국 철강 대기업 US스틸 인수 시도와 관련해 "일본에 (US스틸이) 넘어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에서 내린 일본제철의 인수 불허에 대해 재심사를 명령한 것과는 상반된 발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을 만나 "US스틸은 미국에 있어 매우 특별한 회사"라며 미국이 아닌 외국 기업에 의한 인수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그러면서 "US스틸이 자금을 필요로 하
  • "관세 보복에 美주택시장 무너질수도" 섬뜩한 경고 나왔다 [글로벌 왓]
    "관세 보복에 美주택시장 무너질수도" 섬뜩한 경고 나왔다 [글로벌 왓]
    국제일반 2025.04.10 11:25:32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잇따라 내던지면서 미국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매각을 본격화할 경우 미국 주택 시장에 커다란 타격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9일(현지 시간) CNBC는 미국 인사이드 모기지 파이낸스 임원인 가이 세칼라의 말을 인용해 중국이 보유한 MBS 매각을 가속화할 경우 다른 국가들의 추종이 이어지면서 미국 경제에 커다란 위협(threat)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MBS는 주택담보대출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증권으로,
  • 젤렌스키 "우크라서 중국인 155명 전투 중…러, SNS로 中 용병 모집"
    젤렌스키 "우크라서 중국인 155명 전투 중…러, SNS로 中 용병 모집"
    국제일반 2025.04.10 10:56:19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도와 전쟁에 참전한 중국인 두 명을 생포했다고 밝힌 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참전 중국인 수가 최소 150명 이상이라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은 155명의 중국인이 전쟁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들의 이름, 생년월일, 배속된 러시아 군부대 등 인적 정보를 확보했다고 했다. 그는 중국인의 우크라이나전 참전 문제는 심각한 사항이라며 “우리는 계속 정보를 모으고 있으며 더 많은 중국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
  • ‘관세 전쟁 격화’ 중국, 미국 여행 자제령 내렸다
    ‘관세 전쟁 격화’ 중국, 미국 여행 자제령 내렸다
    국제일반 2025.04.10 10:32:55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이 갈수록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 관광 당국이 자국민들에게 미국 여행 자제령을 내렸다. 현지 계면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 문화여유부는 9일(현지 시간) 자국 관광객들에게 최근 미·중 경제무역 관계 악화와 미국 내 안보 상황을 여행 위험 경보 발령을 근거로 미국 여행의 위험성을 충분하게 고려할 것을 권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04% 관세를 부가하자 중국도 이날 전방위 비례 대응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현지 시간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
  • '랠리 지속 VS 아직 안심 못 해' 美 선물 시장, 혼조세
    '랠리 지속 VS 아직 안심 못 해' 美 선물 시장, 혼조세
    국제일반 2025.04.10 10:30:28
    전날 밤 상호관세 90일간 유예 소식에 미국 증시가 기록적인 랠리를 보인 가운데 미 선물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세를 이어가는 한편 전날 상승폭이 컸던 영향으로 하락을 오가는모양새다. 9일(현지 시간) 오후 8시 18분 현재 미국 뉴욕 증시 선물 시장은 소폭 상승과 하락을 오가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선물은 0.04% 하락, 다우존스 선물은 0.25% 상승, 나스닥 선물은 0.40%하락 중이다. 보통 정규장이 급등하면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와 지수 선물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날은 미 증시
  • 트럼프‘'트러스 모먼트’ 우려했나…美국채시장 위기론에 관세 노선조정
    트럼프‘'트러스 모먼트’ 우려했나…美국채시장 위기론에 관세 노선조정
    국제일반 2025.04.10 10:25:3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의 강도를 한 층 낮춘 배경이 최근 미국 국채 시장의 불안 신호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단기간에 미국 국채의 투매가 확대되면서 2022년 영국 국채 불안이 금융 시장 위기로 번질 뻔했던 사례가 재발될 수 있다는 우려에 관세 정책에서 후퇴했다는 설명이다. 9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상호관세를 유예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사람들이) 약간 겁을 먹었다”라고 답변했다. 그는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냐는 질문에 “난 국채 시장을 보고 있었다. 국채 시장은 매
  • "지금이 바로 타이밍"…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하며 외친 한마디
    "지금이 바로 타이밍"…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하며 외친 한마디
    국제일반 2025.04.10 10:19:0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방침을 밝히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급반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86.65포인트(+5.54%) 상승한 3만9732.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18.81포인트(+6.40%) 뛴 5301.5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256.28포인트(+8.28%) 급등한 1만6524.19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 증시 개장 직후 자신의 사
  • 배 과하게 불러있던 거대한 비단뱀…배 갈라본 가족들의 오열 "어머니"
    배 과하게 불러있던 거대한 비단뱀…배 갈라본 가족들의 오열 "어머니"
    국제일반 2025.04.10 09:00:10
    인도네시아에서 실종됐던 60대 여성이 비단뱀 뱃속에서 발견됐다.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은 지난 2일(현지시간) "전날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에서 실종된 60대 여성의 시신이 비단뱀 뱃속에서 발견됐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66세 여성인 고(故) 하시아는 늦은 시간까지 귀가하지 않았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가족들은 하시아를 찾아 나섰다. 그리고 가족들은 배가 과하게 불러있는 비단뱀 한마리를 발견했다. 가족들은 불길한 예감에 사람들을 모아 비단뱀을 제압하고 배를 갈랐다. 뱃속에서는 고인의 시신이 나왔다. 고인의 아들
  • 美 관세 협상 시간 벌었지만…“대행 체제로 대응 한계”[Pick코노미]
    美 관세 협상 시간 벌었지만…“대행 체제로 대응 한계”[Pick코노미]
    국제일반 2025.04.10 06:47: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무역 상대국에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했다. 한국으로서는 협상을 위한 시간을 벌었지만 세 달의 유예기간 중 두 달은 대선 등 정치 일정으로 소모해야 하는 등 협상 여건이 열악한 것은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원스톱 쇼핑’을 언급하며 한 번에 여러 가지 거래 조건을 동시에 합의하는 패키지 딜을 요구하고 있지만 권한대행 체제가 이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6월 대선까지 한미 양국의 빅딜이 미뤄질 경우 한국의 수출 피해액만 13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
  • 정인교, 美 상무부·산업안보국 면담…상호관세 90일 유예 속 협상 개시
    정인교, 美 상무부·산업안보국 면담…상호관세 90일 유예 속 협상 개시
    국제일반 2025.04.10 06:37:24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측 대화 상대방인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뿐 아니라 상무부 국제무역 차관과 산업안보국(BIS) 차관 등을 두루 만나 관세 협상의 물꼬를 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으 제외한 무역 상대국에 10%의 기본관세를 제외한 상호관세 적용은 90일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10일 정 본부장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그리어 대표를 만나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한 우려를 전달한 뒤 한국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협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