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현 상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오는 2030년에 이르러 높아진 해수면으로 인해 산업시설과 주거공간이 밀집돼 있는 전 세계 연안지역이 천문학적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연안 재해 예측프로그램이다. 하지만 기존의 프로그램 대다수는 단기 간의 모니터링 자료에 기반하고 있어 미래에 발생할 재해를 정확히 예측 및 분석할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이와 관련 국내 연구팀이 재해 예측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배가할 수 있는 연안 재해 예측프로그램 개발에 나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표 환경변화연구실 양 동윤 박사팀이 그 주인공이다. 양 박사는 "기후변화에 의한 연안 침식은 인명과 재산 손실의 원인으로서 해안선이나 사구(砂丘)의 후퇴를 유발, 민가 및 산업시설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연안 재해 의 대부분은 예측이 어려운 돌발적인 기후변화가 원인이므로 이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에 현재 양 박사팀은 침수·폭풍·해일과 같은 과거의 돌발 기후변화 이력을 통해 미래의 재해를 예측하는 '연안 지질환경변화 대응 U-시스템'의 개발에 착수했다. 이 시스템은 호수·습지·해양 등의 퇴적층에 남아있는 과거 수십만 년 전의 흔적을 분석·복원해 향후 발생 가능한 연안 재해를 예측한다.
양 박사는 "기존 연안 재해 예측프로그램은 현재보다 해 수면이 높았던 과거의 데이터를 배재해 불확실성이 높다"며 "반면 U-시스템은 수십만 년 전의 데이터까지 분석·복원하 기 때문에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향후 U-시스템을 통해 연안 침식은 물론 해 일·폭풍·쓰나미·홍수 등 자연재해의 발생과 피해범위에 대한 신뢰성 높은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연구팀은 과거 온난화 시기의 지형과 지질환경 변화, 재해 흔적 등의 데이터에 근거해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우리나라의 재해 예측 지도를 마련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그 첫 단계로 현재는 중력·자력 탐사, 항공 및 위성영상, 방사성핵종 분석을 토대로 전국 연안 침식 취약 지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중에 있다. 재해 예방과 관련해서는 1차적으로 인공 사구나 염습지(鹽濕地) 조성 등 환경친화적 방법으로 연안 자체의 재해 대응력을 키워야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해안선 조정선(setback line)을 설정, 해안선 후퇴에 대한 근본적 대비책 마련 이 필요하다는 게 양 박사의 판단이다.
양 박사는 "국내 연안은 동·서·남해마다 침식과 퇴적 피해 메커니즘이 달라 시범지역 선정을 거쳐 각각의 프로토타입 모델 개발이 급선무"라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최소 5~1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구 개발이 완료 되면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일반인들에게도 관련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덕=구본혁 기자 nbgkoo@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