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10번째 영화를 첫 작품처럼 데뷔때 지녔던 열정 쏟았죠

■ 영화 '미운 오리 새끼' 감독 곽경택<br>군 시절 자전적 이야기 담아<br>세상의 '미운 오리 새끼' 들에<br>희망 메시지 전해 주고 싶어


"스테이크보다는 국밥이죠"

곽경택(46·사진) 감독은 자신의 영화를 국밥이라 표현했다. 1997년'억수탕'으로 데뷔해 '친구'로 800만 관객을 동원한 그는 그간 크고 작은 영화를 연출하며 거칠면서도 낯설지 않은 정감 어린 캐릭터들을 스크린으로 옮겨왔다. 곽 감독이 자신의 18개월 방위 생활을 녹인 자전적 이야기 '미운 오리 새끼'(30일 개봉)로 '통증'이후 1년 여 만에 관객을 찾는다.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곽 감독은 "10번째 영화를 첫 번째 영화처럼 찍었다.'친구' 이후 여러 작품을 하면서 내가 가진 칼날이 무뎌진 느낌을 받았다. 열정 하나만으로 스스로 동기 부여했던 데뷔시절 내 모습을 찾아본 작품"이라 말했다. 영화는 1980년대를 배경으로 헌병대에 배치된 방위병이 군 생활 6개월 동안 겪는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그린다. 전직 사진기자지만 고문 후유증으로 정신을 놓아버린 아버지가 등장하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육성 연설이 삽입되는 등 당시 시대상이 펼쳐지기도 한다.

"노 대통령 임기 말 무렵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어요. 군 동기였던 강헌(음악평론가)씨가 뭔가 의미 있는 이야기를 해보자고 했죠. 386 세대의 상징 인물이 대통령이 됐고, 실정도 있었지만 씁쓸하게 물러나는 게 아쉬웠다는 겁니다. 단순히 전기가 아니라 그 시절을 반추해보는 이야기를 만들어보자고 하더군요. 처음엔 모른다 제쳐뒀는데, 저항의식 없이 지낸 내 젊은 시절 모습에 대한 부끄러움, 일종의 부채의식이 계속 맴돌아 시작했죠."

역시나 80년대 군대 이야기에 반길 투자자는 없었다. 뒤늦게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가 합류했지만 영화는 실제작비 10억 원이 채 안 되는 돈으로 어렵게 촬영에 들어갔다.

"지금 이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지 못하면 영원히 찍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촬영하기로 마음 먹었던 군부대도 곧 재개발에 들어가기도 했고요. 이번 작품은 정말 뭐에 홀린 듯 찍었습니다."



곽 감독이 이번 영화에 남다른 애착을 보이는 데는 함께 한 출연배우들의 영향도 크다. SBS의 연기자 오디션 프로그램'기적의 오디션'에 심사위원으로 출연한 곽 감독이 몇몇 참가자들의 가능성을 눈 여겨 봤고, 자신의 영화에 출연시켜주겠다는 약속을 지킨 것이다. 주인공'낙만'을 연기한 김준구를 비롯해 조혜련의 남동생인 조지환(중대장 역)등 6명의 주·조연들이 모두'기적의 오디션' 출신이다. 곽 감독은 "위험한 도전이라는 생각에 걱정도 많았던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이제는 깃털 빠진 백조인 내게 함께한 배우들이 백조가 돼 내게 다시 깃털을 이식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전적 이야기를 버무려 내놓은 곽 감독의 10번째 연출작 '미운 오리 새끼'. 그가 영화를 통해 전하는 10번째 메시지는 무엇일까.

"영화 제작에 동기 줬던 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영화를 만든 저도, 출연한 대부분의 배우들도, 그리고 검증에 검증을 거치며 과거보다 더 힘겹게 살아가는 오늘날의 젊은이들도 모두 처음엔 '미운 오리 새끼'죠. 그러나 나중에 뭐가 될지도 아무도 몰라요. 영화에 동네 바보 혜림(정예진)이 등장하잖아요. 혜림은 사회적 최약자죠. 유린과 강간으로 혜림이 갖게 된 아이, 미친 여인을 성폭행한 악인과 광녀인 어머니의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난 그 아이조차 마지막엔 어찌 될 지 아무도 모른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싶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