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원개발 금융' 대폭 늘려야 ■ 정부, 석유광구 지분매입 추진IMF때 기업들 보유 해외광구 팔기 바빠유가·광물 값 급등하자 경제에 큰 짐 돼 이철균 기자 fusioncj@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정부 안팎이나 민간기업ㆍ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현재의 유가 하락이 광구 매입의 호기이기도 하지만 그 기회를 못 살릴 수도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해외자원개발 과정에서 광구 등을 인수하고 싶어도 전세계 금융시장 경색으로 '달러 조달(funding)'이 쉽지 않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또 환율이 지난해에 비해 50% 이상 올랐기 때문에 비록 광구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진 곳도 있지만 원화의 가치하락으로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이유도 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이 같은 호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해외 자원개발 금융' 대폭 확대가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있다. ◇1997년 전철 밟지 말아야=최근 자금난에 봉착한 일부 기업이 해외에 확보하고 있는 광구를 매각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자 정부는 "팔려면 국내 기업들끼리 거래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하고 나섰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의 악몽이 떠올라서다. 1997년 외환위기 후 자금난에 봉착한 에너지 관련 공기업과 민간기업들은 갖고 있던 해외광구 지분을 팔기에 바빴다. 당시 정부도 이들 기업에 광구매각을 종용했고 기업 입장에서도 오늘내일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판에 광구지분을 갖고 있기는 무리였다. 이렇게 팔아치운 매각 광구가 외환위기 이후 2002년까지 무려 26개. 하지만 이후 급등하기 시작한 유가와 광물가격은 당시의 성급한 판단을 후회하게 만들면서 우리 경제에 큰 짐으로 다가왔다. 이재훈 지식경제부 2차관이 최근 해외자원개발 기업 대표 40여명이 참석한 자리에서 "저유가 시기에 투자를 확대했다면 낮은 비용으로 유망 광구를 확보할 수 있었다"면서 기존 해외자원개발 투자를 내실화하고 신규 투자를 늘려줄 것을 당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해외광구 공격적 매입으로 자원개발 열기 유지=정부가 내년도의 해외자원개발 목표치를 대폭 높여 잡은 것은 자칫 차갑게 식을 수 있는 해외자원개발 열기를 정부차원에서라도 유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정부는 석유ㆍ가스공사 등을 내세워 내년에 유전 생산광구를 5개 매입하고 탐사광구를 40개나 사들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생산유전의 경우 1월에 미국 테일러 생산유전 매입이 전부다. 물론 베트남 15-1광구의 증산, 페루 56개발광구의 생산광구 전환 등을 포함할 경우 3개다. 생산광구의 신규투자를 5개로 늘리겠다는 것은 원유ㆍ가스의 자주개발률을 높이려는 정부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기도 하다. ◇문제는 달러 조달… 외환보유액 활용 지적도=정부나 민간자원개발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문제는 자금(달러)조달"이라고 말하고 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광구를 매입할 원화 자금은 솔직히 충분하다"면서 "문제는 달러인데 이를 조달할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모색해야 적당한 시기가 왔을 때 이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단 정부는 해외자원개발 금융 지원을 확대해 자금부족으로 광구매입 시기를 놓치는 사례는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이 차관도 "수출입은행이나 수출보험공사의 자원개발 금융을 확대하고 민간기업에 대한 성공불 융자지원을 늘리는 것을 비롯해 공기업이 참여하는 자원개발 펀드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추경예산을 포함, 자원개발 관련 예산으로 1조8,000억원을 마련한 상태다. 내년에는 정부예산 1,200억원을 활용해 1조원 규모의 민관합동 자원개발 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다른 한 측면에서는 이 같은 정부의 해외자원개발금융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달러가 없어 광구를 못사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면서 "비록 지금 외환시장 안정이 급선무이기는 하지만 외환보유액을 이용해 유망 해외광구를 살 수 있는 지원도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석유공사와 광업진흥공사의 대형화도 예정대로 추진해 자원개발 속도도 높일 예정이다. 광진공의 경우 자본금을 6,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늘리고 기존 진흥기관에 머물던 것을 직접투자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조정했다. 이름도 '한국광물자원공사'로 바꿨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