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1억년 전 불쑥 솟은 '말의 귀'… 봐도 봐도 신기하네

전북 진안 마이산<br>쭈뼛이 선 암마이봉·수마이봉…<br>남쪽 코스로 산책하듯 오르면… 1300년 고찰 금당사 반기고…<br>숨쉬는 항아리·머루와인 등 인근엔 다양한 즐길거리도

홍삼스파에서 바라본 마이산의 석양. 마이산은 솟아오른 두 봉우리가 말의 귀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금당사 대웅전에서 바라본 탑사전경.

손내옹기의 건조실.

1억년 전 퇴적층이 쌓인 호수바닥이 지각변동에 의해 기이한 봉우리 한 쌍으로 솟아났다.

불끈 솟아 마주한 두 봉우리의 쭈뼛한 모양이 말의 귀를 닮아 마이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리고 마이산은 이 땅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풍광을 뽐내고 있다.

진안의 상징 마이산의 암마이봉(686m)과 수마이봉(680m)에 오르는 길은 북쪽과 남쪽 두 곳이다. 하지만 산의 풍취를 느끼고 겨울트레킹의 즐거움을 접하기에는 남부매표소에서 오르는 게 좋다. 중턱의 은수사까지 완만한 평지이고, 길도 험하지 않아 산책하듯 산행을 할 수 있다. 반면 북부매표소에서 오르는 길은 500여개의 계단으로 돼 있어 다소 지루하다.

남부매표소를 지나면 제일 먼저 금당사가 모습을 드러낸다. 탑사에 정신이 팔려 그냥 지나치기 쉬운 작은 절이지만 건립된 지 1,300년이나 된 고찰이다. 경내에는 금칠을 입힌 대웅전이 화려하게 빛나고, 종무소 옆에 소형의 오층석탑이 눈길을 끈다. 오층석탑은 탑신과 옥개석이 제각각 조성돼 있는데 초기의 원형은 아니다. 기단부 중석은 다른 돌로 대체했고 갑석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놓았다. 상륜부도 나중에 얹은 것으로 보이지만 절에서 몇 안 되는 문화재 중 하나다.

극락전에는 주요 문화재 두 점이 소장돼 있다. 하나의 은행나무를 깎아 조성한 금당사목불좌상과 폭 5m 높이 9m에 이르는 괘불탱화다. 괘불탱화는 통도사의 관음보살괘불탱화나 무량사의 미륵보살괘불탱화와 더불어 보살 괘불탱화의 걸작으로 꼽힌다.

금당사에서 20여분을 오르면 마이산을 더욱 신비롭고 유명하게 만든 탑사가 나온다. 암마이봉과 수마이봉 사이에 들어 앉은 절에는 이갑룡 처사가 천지음양의 이치와 팔진도법을 응용해 쌓았다는 탑들이 신기한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천지탑, 중앙탑 등 80여기의 석탑을 자연석으로 쌓아 올렸다. 어지럽게 돌무더기가 놓여 있는 것 같지만 태풍이 불어도 약간 흔들릴 뿐 끄떡도 않는다.

탑사 뒤로는 암마이봉과 수마이봉이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암마이봉을 자세히 살펴보면 윗부분에 폭격을 맞은 듯한 크고 작은 홈들을 볼 수 있다.

이는 타포니 지형의 전형적인 형태로 보통의 풍화작용은 바위 표면에서 시작되지만, 타포니 지형은 풍화작용이 바위 내부에서 시작해 내부가 팽창되면서 밖에 있는 바위 표면을 밀어내 형성된 것이다. 마이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타포니 지형이 발달한 곳으로 유명하다.

탑사에서 계단을 올라 5분쯤 걸으면 수마이봉 아래 은수사가 자리한다. 이 절은 조선 태조 이성계와 인연이 있다. 태조가 절에서 물을 마시고 물이 은같이 맑다고 해서 은수사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고 한다.

겨울철 은수사가 유명한 것은 신비의 역고드름 때문이다. 청배실나무 아래 정한수를 떠놓고 기도하면 물그릇 안의 물이 얼면서 하늘을 향해 고드름이 치솟는다. 학자들은 일종의 대류현상 때문이라고 하지만 확실하게 입증된 것은 아니다.

은수사 왼쪽 뒤편에 암수 마이봉 사이에는 계단이 놓여 있는데 계단을 올라서면 정상인 천황문이다. 천황문은 물이 갈라지는 분수령으로 암마이봉 북쪽으로 흐르는 물은 금강, 수마이봉 남쪽으로 흐르는 물은 섬진강의 원류가 된다. 천황문에서 암마이봉 정상으로 오르는 길이 있지만 식생복원을 위해 오는 2014년 10월까지 등산로가 폐쇄돼 이용할 수 없다. 수마이봉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약 100m 오르면 옥동자를 낳는다는 전설의 약수가 흐르는 화엄굴이 있다. 이곳 역시 겨울철 안전사고를 염려해 입산을 통제하고 있다.

마이산 인근에는 볼거리, 즐길거리도 많다.

백운면의 손내옹기는 옹기장인 이현배씨가 김치, 된장 같은 발효식품과 가장 잘 어울리는 숨 쉬는 항아리를 만들어내는 곳이다. 간판이 걸려 있지 않지만 도로가에 흙으로 제작한 가마와 옹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나무장작이 쌓여 있어 이 곳을 찾기는 어렵지 않다. 옹기는 김치ㆍ간장ㆍ고추장 등 전통음식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용기다. 청자, 백자류에 비해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국에 남아 있는 옹기가마는 얼마 되지 않는다. 손내옹기는 여주, 이천 등지의 도자기체험장처럼 옹기 만드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다. 온전하게 제대로 된 옹기를 제작하고자 하는 주인의 장인정신 때문이다.

손내옹기 다음의 볼거리는 노채마을이다. 노채마을은 농촌체험과 머루와인으로 유명한 고장이다. 겨울철에는 추위 때문에 농촌체험이 뜸하지만, 마을 특산물인 머루로 담근 와인 저장창고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창고는 실제로 금을 캐던 갱도를 와인 저장고로 활용 중이다. 금굴에 들어서면 와인이 익어가는 향기가 코를 찌른다. 벽면으로 와인병이 줄을 지어 놓여 있는데 외부 기온이 아무리 추워도 금굴 안은 연중 평균 기온 12℃로 일정하다. 와인을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여건이다. 와인은 이곳에서 최소 3년 이상 숙성된 후 세상으로 나온다. 머루와인은 포도로 만든 와인보다 신맛이 다소 강하다. 금굴에는 머루와인 외에도 금을 캐기 위해 굴을 파던 흔적, 불발탄으로 남은 다이너마이트, 금광맥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진안 여행의 마지막 코스는 홍삼스파. 여행의 피로도 풀 수 있고, 한겨울 추위에 고생한 몸을 따뜻하게 녹일 수 있는 곳이다.

노채마을에서 마이산 북부주차장 입구의 홍삼스파로 가는 길에는 여유 있게 용담호의 풍취를 즐겨볼 수도 있다. 겨울이 내려앉은 호수는 무겁고 차분한 느낌으로 길손을 맞는다.

홍삼스파에서는 개인 욕조에 홍삼액을 넣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아로마테라피, 물속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사운드 플로팅, 홍삼성분이 함유된 거품이 가득한 버블 테라피 등 9개 스파 코스를 통해 몸의 기를 보충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노천욕을 할 수 있는 옥상 야외노천탕이 인기다. 탕 안에 몸을 담그면 눈 앞에 하얀 눈으로 덮인 마이산이 제 모습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암수 마이봉의 절경을 감상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장소는 없다.




여행수첩

◇스케줄 짜기

▦ 당일 코스

마이산→손내옹기→용담호→노채마을 머루와인→홍삼스파

▦ 1박2일 코스

첫째날

마이산→손내옹기→영모정→데미샘→홍삼스파

둘째날

용담호→용담댐→노채마을 머루와인→죽도

◇여행정보

▦관련 웹사이트

-진안군청 문화관광과 www.jinan.go.kr

-진안 홍삼스파 www.redginsengspa.kr



-노채마을 머루와인 www.myvine.co.kr

◇문의할 만한 곳

-진안군청 문화관광과 063)430-2229

-마이산관리사무소 063)433-3313

-탑사 063)433-0012

-금당사 063)432-0108

-은수사 063)433-2502

-손내옹기 063)432-3252

-노채마을 머루와인 063)432-1189

-홍삼스파 1588-7597

◇대중교통

▦버스

센트럴시티터미널-진안버스터미널 약 3시간. 1일 2회(10:10, 15:10)

▦자가운전

익산포항고속도로→진안 IC→30번 국도(마령 방면)→화전삼거리(우회전)→마이산(남부매표소)

◇숙박정보

-호텔 홍삼빌 : 진안읍 단양리, 1588-7597 (굿스테이)

-운장산자연휴양림 : 정천면 갈용리, 063)432-1193

-마이산타운장 : 진안읍 단양리, 063)432-4201

-크리스탈모텔 : 진안읍 군하리, 063)433-9950

-그랜드장: 진안읍 군하리, 063)433-4373

◇식당정보

-일품가든 : 진안읍 군상리, 흑돼지삼겹살, 063)433-0825

-진안관 : 진안읍 군상리, 애저찜, 063)433-2629

-구내식당 : 진안읍 군하리, 백반, 063)433-3153

-국태가든 : 진안읍 단양리, 더덕구이, 063)433-5588

-월평댁 : 정천면 월평리, 어죽, 063)432-3323

◇주변 볼거리

데미샘, 운일암반일암, 운장산자연휴양림, 풍혈냉천, 영모정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