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조선왕릉' 국내 9번째 세계문화유산 된다

유네스코, 등재 확정키로

지난 27일제33차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으로 등재된 40기의 조선왕릉 중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에위치한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영릉’.(사적 195호)/서울경제 자료사진

SetSectionName(); '조선왕릉' 국내 9번째 세계문화유산 된다 유네스코, 등재 확정키로 김지아 기자 tellme@sed.co.kr 지난 27일제33차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으로 등재된 40기의 조선왕릉 중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에위치한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영릉’.(사적 195호)/서울경제 자료사진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조선왕릉'(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이 한국의 9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27일(한국시간) 스페인 세비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 33차 회의에서 한국의 조선왕릉을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에 등재하기로 확정했다. 이로써 한국은 석굴암ㆍ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 창덕궁, 수원 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ㆍ화순ㆍ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 그리고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에 이어 통산 9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한국의 세계유산 9건 중 인류의 자취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은 8건이며, 자연유산은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이다. 조선왕릉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확정되자 한국대표단 수석대표인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새로운 세계유산을 등재하게 된 한국은 그에 따르는 의무와 책임감을 다해 조선왕릉 보존에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결정적인 역할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했다. 이는WHC 자문기구로서 WHC에 제출한 '조선왕릉에 대한 평가결과 보고서'를 통해 '등재권고' 판정을 내렸다. 이로써 이변이 없는 한, 조선왕릉의 등재는 확정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이 보고서에서 ICOMOS는 조선왕릉이 유교문화의 영향 아래 중요한 장례전통과 풍수사상을 간직하고, 그 건축과 경관은 동아시아 무덤 건축 발전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며 나아가 그곳에서 현재도 왕릉 제례가 열리고 있다고 '등재 권고'의 이유를 밝혔다. 반면 자연유산 분야로 함께 등재 신청을 한 '한국의 백악기 공룡 해안(Korean Cretaceous Dinosaur Coast)'은 그 실사를 담당한 WHC 자문기구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등재불가' 판정을 내렸다. 세계유산은 원칙적으로 '재심'이 불가능한 까닭에 추후 재신청을 위한 길을 열어 놓고자 한국은 이날 세계유산 등재 심사 직전 신청을 공식 철회했다. 사후 왕추봉·왕비 무덤등 조선왕릉 모두 40기로 구성 조선왕릉은 모두 40기로 구성된다. 조선왕조에는 27명의 왕이 있었으므로 '왕릉'이라면 27기여야 정상이지만, 40기가 된 까닭은 생전에 왕이 되지 못했으나 나중에 왕으로 추봉(推封)된 경우와, 나아가 왕비의 무덤 또한 포함됐기 때문이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기념으로 7월 12일까지 조선왕릉을 관람객에게 무료 개방하기로 했다.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40기 내역과 그 무덤의 주인공은 다음과 같다. ▲정릉(사적 208호) : 제1대 태조계비 신덕왕후 강씨 ▲서오릉(사적198호) :△경릉 : 제9대 성종사친 덕종 및 소혜왕후 한씨. △창릉 : 제8대 예종 및 계비 안순왕후 한씨.△명릉 : 제19대 숙종 및 계비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 △익릉 : 제19대 숙종비 인경왕후 김씨. △홍릉 : 제21대 영조비 정성왕후 서씨. ▲서삼릉(사적 200호) :△효릉 : 제12대 인종 및 비 인성왕후 박씨. △예릉 : 제25대 철종 및 비 철인왕후 김씨.△희릉 : 제11대 중종계비 장경왕후 윤씨. ▲온릉(사적 210호) : 제11대 중종비 단경왕후 신씨. ▲광릉(사적 197호) : 제7대 세조 및 정희왕후 윤씨. ▲동구릉(사적 193호) : △건원릉 : 제1대 태조. △현릉 : 제5대 문종 및 현덕왕후 권씨. △목릉 : 제14대 선조 및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 △휘릉 : 제16대 인조계비 장열왕후 조씨. △숭릉 : 제18대 현종 및 명성왕후 김씨. △혜릉 : 제20대 경종비 단의왕후 심씨. △원릉 : 제21대 영조 및 계비 정순왕후 김씨. △수릉 : 추존 문조 및 왕후 신정왕후 조씨. △경릉 : 제24대 헌종 및 효현왕후 김씨, 계비 효정왕후 홍씨. ▲태릉(사적 201호) : 제11대 중종계비 문정왕후 윤씨. △강릉 : 제13대 명종 및 인순왕후 심씨. ▲홍릉(사적 207호) : 제26대 고종 및 명성황후 민씨. 유릉 : 제27대 순종및순명황후 민씨, 순정황후 윤씨. ▲사릉(사적 209호) : 제6대 단종비 정순왕후 송씨. ▲헌릉(사적 194호) : 제3대 태종 및 원경왕후 민씨. ▲인릉 : 제23대 순조 및 순원왕후 김씨. ▲선릉(사적 199호) : 제9대 성종 및 계비 정현왕후 윤씨. ▲정릉 : 제11대 중종. ▲융릉(사적 206호) : 추존 장조(사도세자) 및 헌경왕후 홍씨. ▲건릉 : 제22대 정조 및 효의왕후 김씨. ▲공릉(사적205호) : 제8대 예종비 장순왕후 한씨. ▲순릉 : 제9대 성종비 공혜왕후 한씨. ▲영릉 : 추존진종 및 효순왕후 조씨. ▲장릉(사적 203호) : 제16대 인조 및 인열왕후 한씨. ▲장릉(사적 202호) : 추존 제16대 인조부 원종 및 인헌왕후 구씨. ▲의릉(사적 204호) : 제20대 경종 및 계비 선의왕후 어씨. ▲영릉(사적 195호) : 제14대 세종 및 소헌왕후 심씨. ▲녕릉 : 제17대 효종 및 인선왕후 장씨. ▲장릉(사적 196호) : 제6대 단종.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