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여(사진)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사진) 민주통합당 대표가 오는 13일 국회에서 첫 여야 대표 회담을 갖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민주화 관련법 등의 6월 임시국회 처리를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당 대표 회담에서는 또 최근 시험성적서 위조로 원자력발전 가동이 중단된 원전 비리와 검찰의 국정원 선거 개입 혐의 수사 종료 후 국회 국정조사 실시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6일 양당 대표가 6월 임시국회에서 현안 법안 등을 논의하고 국회 의사 일정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 13일 만남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 대표 간 공식 회동은 5∙4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김 대표가 선출된 후 5월6일 인사차 황 대표를 예방한 후 처음이다. 이번 회담은 여야가 대정부질문(10~13일)을 끝내고 본격적으로 상임위원회 활동에 들어가기에 앞서 대표 간에 상생·협력국회를 다짐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고 양당은 설명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 폐지와 프랜차이즈 본부의 책임을 강화하는 법안, 일감 몰아주기 규제 강화 등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 처리를 확인하고 정치 쇄신 차원의 의원 겸직 금지 및 전직 국회의원 지원금 축소 등의 법안 통과를 약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특히 박근혜 정부가 최근 일자리 창출과 창조 경제 구축 방안을 제시한 데 따라 이를 뒷받침할 입법 계획을 김 대표에게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도 "양당 대표가 경제민주화 법안 처리 등 6월 임시국회 의제에 대해 얘기할 것으로 안다" 면서 "새누리당이 제기한 원전 비리 문제에 관한 국회 차원의 대응 방안이나 국정원 선거 개입 논란과 관련해 이미 약속한 국정조사 등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김 대표가 전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제안한 '갑을관계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대타협 위원회'와 '역외탈세 및 조세도피에 대한 국회 내 진상조사 특위' 구성 등도 의제에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애초 이달 초로 예상됐다 미뤄진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회동 일정 및 의제 등에 대한 의견 교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동은 황 대표가 일찌감치 원활한 국정 소통을 위해 박 대통령에게 건의, 원칙적 공감대를 마련해놓고 있다.
양당 대표의 이번 첫 회동을 계기로 '여야 6인협의체'가 복원될지도 주목된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지난 4월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이 매월 한 차례 모여 현안을 협의하는 6인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했으나 황 대표를 제외한 양당 지도부가 교체되면서 사실상 중단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