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9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 법무부와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이 아직 조사 초기 단계지만 최소한 2건의 국채시장 조작 혐의를 잡고 기소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WSJ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일부 대형은행 거래인들이 미 재무부에서 경매하는 국채를 싸게 사기 위해 담합, 국채선물가격 조작 등의 불법행위를 저질렀는지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NYDFS는 지난달 바클레이스·도이체방크·골드만삭스·소시에테제네랄 등 9개 대형은행에 미 국채 경매 때의 낙찰가격과 시장 거래가격, 서로 다른 은행 간의 의견교환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했다. 미 국채시장 규모는 12조8,000억달러에 달한다. 또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분류되면서 각국 금리와 자산가격의 기준이 돼왔다. 이 때문에 이번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미 국채의 신뢰도 추락 등 큰 파문이 예상된다. 월가 은행들은 외환·원자재·금리시장도 조작해 수십억달러의 벌금을 얻어맞은 바 있다.
미 국채가격 조작도 처음은 아니다. 지난 1991년 살로먼브러더스는 미 국채 경매 때 '프라이머리 딜러'당 35%만 매입할 수 있다는 관련 규정을 어기고 85%를 대량 매입해 시장 조작을 시도했다. 최근에는 보스턴공무원연기금·아칸소교사퇴직연금 등 연기금펀드들이 프라이머리 딜러 은행을 대상으로 국채 경매가격을 조작해 투자가들에 손실을 입혔다며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미 정부는 과거 국채 경매 때 은행·증권 등 22개 대형 금융기관을 프라이머리 딜러로 지정해 시장 유통, 유동성 확보 등 '시장 조성자' 역할을 맡겼다. 하지만 낙찰정보가 불투명하다는 투자가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최근 몇 년간 해외 중앙은행, 보험사, 투자펀드 등에도 문호를 대폭 확대해왔다.
이 때문에 미 국채 경매 때 프라이머리 딜러에 할당된 물량은 2010년 전체의 15.1%에서 지난해 8.3%로 급감했다. 프라이머리 딜러들은 고객 이탈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시장 조작의 유혹에 노출된 상태다. 이번에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금융기관도 모두 프라이머리 딜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