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내찬 한성대 교수는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실은 논문에서 OECD의 '보다 나은 삶의 질 지표(Better Life Index)'를 일부 수정해 개발한 '행복지수'를 적용ㆍ분석한 결과 한국은 10점 만점에 4.2점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은 총 34개 OECD 회원국 가운데 32위를 차지했으며 우리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곳은 터키(2.90)와 멕시코(2.66)뿐이었다.
상위 5위 안에 든 국가는 ▦덴마크 8.09 ▦오스트레일리아 8.07 ▦노르웨이 7.87 ▦오스트리아 7.76 ▦아이슬란드 7.73 등이었다.
한국은 행복지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환경ㆍ생태의 유지 가능성과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접촉 빈도 등이 반영된 사회네트워크 안전성 지표에서 각각 최하위권인 34위에 머물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32위) ▦필수시설을 못 갖춘 가구 비율(31위) ▦소수자에 대한 관대성(28위) ▦빈곤율(28위) ▦가처분소득(27위) ▦살해율(26위) 등 나머지 지표도 대부분 하위권을 차지했다. 상위권에 랭크된 지표는 상해율(5위) 1개에 불과했다.
이 교수는 "국민 행복을 위한 두 가지 핵심은 '안정된 삶'과 '소득분배의 공평성'이지만 우리나라는 양쪽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경제성장과 분배,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교수가 개발한 행복지수는 OECD가 회원국들의 '보다 나은 삶 지수' 산출에 사용한 ▦1인당 방 수 ▦가처분소득 ▦고용율 ▦살해율 ▦상해율 ▦사회네트워크 안전성 등 12개 지표에다 경제적 안정, 정부에 대한 신뢰, 외부인에 대한 관용과 성차별 등 사회자본 관련 지표, 지니계수ㆍ빈곤율 등 부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 자연환경적 요인인 지속 가능성 지표가 더해진 총 19개 지표로 구성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