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1950년 한국전쟁 남침 이후 2000년대 전까지 주로 테러·간첩 침투 등 비군사적 유형의 도발을 실행했다. 대표적인 사례는 △1·21 사태(1968년) △판문점 도끼 만행사건(1976년) △아웅산묘역 폭탄테러 사건(1983년) △대한항공858기 폭파사건(1987년) △강릉 북한잠수함 침투사건(1996년) 등이 꼽힌다.
이러한 도발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대응이 실제 군사적 보복으로 이어진 사례는 드물다.
박정희 정부는 1·21 사태 이후 특수부대를 조직해 보복 공격을 계획하기도 했으나 무산됐다. 아웅산묘역 폭탄테러 사건 이후에도 대북 보복론이 제기됐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북한의 도발은 대한민국 내 안보의식 및 국제사회 제재 강화 등으로 이어져 결국 '자승자박'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웅산 테러가 발생했던 미얀마는 이 사건을 계기로 북한과 외교관계를 단절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북한의 도발은 제1·2차 연평해전 및 대청해전 같은 군사적 유형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군사적 도발은 대체로 전력 면에서 우위를 지닌 우리 국군에 밀려 북한의 인적·물적 손실로 이어졌다.
이에 북한은 최근 들어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유형의 도발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북한은 '5·24 제재'와 같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또한 최근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미국의 소니픽처스 해킹 등에 북한의 연루설이 제기되는 등 사이버전 형식의 도발에 나서고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