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올 아카데미 승자는 뉴질랜드"
입력2004-03-02 00:00:00
수정
2004.03.02 00:00:00
김희원 기자
아카데미상 11개 부문의 후보로 올라 11개 상을 모두 타낸 `반지의 제왕`의 성공으로 뉴질랜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인구 400만 명도 안 되는 남태평양의 이 작은 나라는 현재 `아카데미 상의 진정한 승자`라고 까지 회자된다.
감독상을 수상한 피터 잭슨 감독을 비롯, 스태프 대부분이 뉴질랜드 출신인데다 영화의 3부작 모두가 흥행에 성공을 거두면서 `반지의 제왕`이 뉴질랜드의 경제와 관광산업을 부흥시킨 영웅 대접을 받고 있는 것. 시상식 전후 뉴질랜드의 분위기도 축제를 방불케 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수도 웰링턴의 엠버시 극장에는 헬렌 클락 총리를 비롯한 750명이 모여 시상식을 지켜봤다. 또한 온 국민의 눈과 귀가 영화제 결과에 쏠린 탓에 평소 퇴근 시간대 나타나는 교통혼잡도 눈에 띄게 줄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평범한 낙농 국가였던 뉴질랜드는 이번 시상식을 계기로 영화 제작 능력과 인프라, 관련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를 세계인들에게 각인 시키는 데 성공했다. 관광이 주 산업중 하나인 이 나라에 영화가 발생시킨 부가가치는 수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프로도(주인공 이름) 효과`라는 지칭까지 낳았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반지의 제왕` 개봉(2001년) 이후 이 나라를 찾은 관광객 수는 연평균 5.6%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전 세계 관광객 증가율은 전반적인 마이너스 성장세였다.
직접적인 고용 효과도 상당하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뉴질랜드에서 촬영과 후반 작업이 진행된 `반지의 제왕`은 건설 요식업 숙박업 등 2만명 이상의 고용 효과를 뉴질랜드에 안겼다. 같은 기간 뉴질랜드 영화산업은 2~3배 가량 성장했고 영상산업 종사자만 현재 3만명에 이르게 됐다. 피터 잭슨이 세운 특수효과 회사인 웨타 스튜디오는 이제 세계 정상급이다. 또한 `반지의 제왕` 이후 `라스트 사무라이`, `부기맨`, `위다웃 더 패들` 등이 뉴질랜드에서 촬영되며 뉴질랜드는 영화 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뉴질랜드의 이와 같은 성공적인 변신에는 수려한 자연환경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 영어 사용권이라는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영화 촬영을 위한 갖가지 혜택을 제공하고 홍보에 발벗고 나섰던 정부 차원의 노력이 성공의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뉴질랜드 정부는 `반지의 제왕` 홍보비에만 1,870만 달러를 지출했다. 또한 지난해 12월에는 촬영 유치 방안 중 하나로 영화 제작비의 12.5%를 되돌려 주는 시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투자청 관광청 무역진흥청 영화진흥청 등 4개 기관이 기민하게 협조하는 가운데 촬영지가 사유지일 경우 땅 주인과 협상을 해서라도 최대한 촬영 당시의 모습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 시상식 내내 쏟아진 뉴질랜드 인에 대한 찬사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그 결과는 물론 뉴질랜드인에게 돌아간다. 호빗족 마을의 배경으로 사용된 마타마타 농장(사유지)은 현재 일인당 33.5 달러(미화 기준)의 입장료를 하루 평균 200여 명의 관광객에게 거둬들이며 톡톡한 재미를 보고 있다.
수려한 환경에 정책적 뒷받침이 더해진 뉴질랜드는 거리 등의 약점을 극복하고 먼저 영화산업에 뛰어든 호주 등을 따돌리며 세계적인 영화 관광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로케이션 장소를 잇달아 확보, 직접적인 고용 효과 외에도 지속적인 관광 국가로 부상할 가능성도 열어 놓고 있다.
정책적 뒷받침으로 강점을 부각시켜 온 뉴질랜드의 성공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부산국제영화제를 유치, 세계인들의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 영화 로케이션 장소로 크게 각광 받는 부산시는 영화와 관광을 연결시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국적 대안으로 보다 많은 정책적 뒷받침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상당하다.
뉴질랜드의 클라크 총리는 “올해는 `반지의 제왕`의 대단한 성공과 `훼일 라이더`(13세 뉴질랜드 소녀가 여우주연상 후보로 올랐음)의 놀라운 성과로 뉴질랜드 영화산업에 있어서 괄목할만한 한 해”라면서 “앞으로도 이러한 성공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원기자 heewk@sed.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