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간척’으로 널리 알려진 충남도의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사업이 마침내 본궤도에 오른다.
충남도는 7일 충남도청에서 허승욱 정무부지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특별위원, 자문단, 도와 시·군 관련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남도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보령·아산·서산·당진·서천·홍성·태안군 등 서해안 7개 시·군에 위치한 방조제, 폐염전 등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재평가를 거쳐 당초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시설물을 찾아 복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다.
우선 도내 279개 방조제(하굿둑)와 폐염전, 방파제, 파도나 연안류가 만든 퇴적지대인 해수욕장의 해빈, 해안사구 현황을 조사한 뒤,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이 중 특히 방조제의 경우는 설치 목적과 위치, 규모, 수혜면적, 저수량, 유입량, 방류량, 주변 토지 이용 현황, 용수 이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또 연안 및 하구, 폐염전 복원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과 원칙, 시설별 복원 방법, 도내 복원 방향 등을 제시한다.
연구용역은 이와 함께 방조제의 당초 기능과 용수 이용체계 및 농업·공업용수 공급능력, 홍수 관리 기능, 주변 토지이용 현황, 환경 변화를 종합해 시설물의 기능을 재평가한 뒤, 원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생태 복원이 용이한 시설을 복원 가능 대상지로 발굴한다.
발굴된 복원 가능 대상지에 대해서는 비용과 절차, 소요기간, 시행 주체, 이해 관계자, 관련 법령 적용, 효과 등 타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 대상지까지 추릴 계획이다.
이렇게 선정한 복원 사업 대상지는 구체적인 복원 방안도 찾게 되는데 수질개선이나 갯벌 환원, 어장어획물 증대, 해안 지형변화 방지, 관광 가치 증대 등 목표를 우선 설정한 뒤 적용 가능한 복원 방안을 제시하고 적합성을 검토하게 되며 각 방안별 시물레이션을 통해 실행 가능성도 평가하게 된다.
이어 복원 대상지별로 비전과 목표, 최적의 방법, 행정적 절차, 이해관계자 간 갈등 해소 및 협력 방안, 소요 사업비 확보 방안, 생태·경제적 기대효과 등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게 된다.
이번 연구용역은 이산과 충남발전연구원이 오는 2016년 8월까지 18개월 동안 진행한다. 연구용역 이후에는 시범 대상 시설 복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17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연안 및 하구는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며 높은 생산성과 생물 다양성으로 자연생태계 중 가치가 매우 높음에도 간척사업 등 개발로 생태 환경이 크게 훼손돼 있다”며 “복원 대상과 최적의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연구용역이 계획대로 세밀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