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는 이미 비금융계열사와 금융계열사 간 순환출자 고리를 사전에 끊어놓았다. 비금융계열사의 재무구조 개선작업과는 별개로 동부그룹이 금융계열사 운영을 어떤 식으로 해내갈지 시장이 주목하는 이유다.
동부그룹은 동부제철의 자율협약 결정이 금융계열사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강하게 선을 긋고 있다. 동부화재의 한 관계자는 "동부그룹은 계열사끼리 수직계열화를 탈피했고 순환출자 형태도 아니어서 특정 계열사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더라도 금융계열사로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동부화재가 갖고 있는 비금융계열사 지분은 동부제철(4.9%)이 유일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유탄이 불가피하다. 당장 경영권 매각이 관건이다. 채권단은 김 회장의 장남인 김남호 동부제철 부장의 화재 지분을 담보로 내놓을 것을 요청한 상황이고 그룹 측은 아직까지 버티고 있다. 하지만 구조조정의 키가 채권단으로 넘어가고 그룹의 유동성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줄다리기를 계속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부분은 고객(계약자) 이탈과 같은 그룹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이미 동부증권은 계열사 편법지원 사실이 적발됐다. 회사채 매입 과정에서 위법 여부가 확정되면 제재가 불가피하다.
동부생명의 기업공개(IPO) 재추진도 예상해볼 수 있다. 동부그룹은 지난 5월 초 주식시장 상황 및 그룹 구조조정 작업 등을 이유로 상장을 철회했다. 그러나 오너 일가가 금융계열사만큼은 붙잡기로 한 만큼 동부생명 상장 이슈가 수면 위로 재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부생명 상장은 금융지주체제 전환의 첫 단추로 평가된다. 동부생명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주요 계열사 지분정리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동부생명의 상장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자금규모를 약 1,000억원대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조정 과정에서 계약자 등의 이탈이 가시화할 경우 이런 시나리오는 현실화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 과거 금호아시아나 계열이던 금호생명은 끝내 산업은행으로 넘어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