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한룡 순천향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는 연우무대의 주춧돌을 놓은 창단 멤버이며, 현재 극단 대표를 맡고 있기도 하다. 정대표는 연우의 태동에서부터 현재까지 영광과 질곡을 옆에서 지켜본 장본인이다. 정대표를 만나 연우무대가 처한 현실과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봤다. -연우무대를 대표할 만한 작품들을 꼽아주시죠. “역시 상 받은 작품들이겠지요. ‘한씨연대기’, ‘칠수와 만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밖에 ‘살아있는 이중생각하’, ‘김치국씨 환장하다’도 기억에 남는 작품입니다” -연우무대의 작품이 잇따라 영화화하면서 희곡의 콘텐츠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내부에서도 합의를 이룬 것은 아닙니다. 아직은 시기상조입니다. 희곡을 콘텐츠화하는 방향이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라 30년간 지켜온 무게가 있기 때문에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기 어려운 점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나는 전통을 바탕으로 해서 극단이 움직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그때 그때 상황에 맞춰 즉흥적으로 하다보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모양을 갖추려면 그런 고민을 해가면서 움직여야 가치 있는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뮤지컬 ‘당신이 잠든 사이’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첫 걸음이라고 보면 됩니다. 연우의 전통과 젊음의 패기가 섞여야 제대로 된 모양이 나올 것입니다. 옛 것만 고집하면 무너지게 마련이고, 새로운 것만 찾다보면 정체성이 문제입니다. 양자간의 조화를 이뤄 내년 30주년 기념 공연때 뭔가를 보여줄 것입니다. 우리는 배수의 진을 치고 있습니다. 무엇인가를 찾아내지 못하면 안됩니다. 나는 꽃이 필수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세상이 변화고 있습니다. 연우무대의 지향점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가족연극, 아동연극의 반응이 좋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요즘 젊은이들은 극단에 들어와서도 자신만의 작품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는 준비기간으로 잡고 내년에는 새로운 과제를 나설 생각입니다. 작년 말에 ‘손님’과 ‘당신이 잠든 사이’ 두 작품을 한꺼번에 올렸는데 호응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세상은 변하는데 연우가 거기에 보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생각하는게 어린이 연극입니다. 어린이들에게 어렸을 때부터 연극 관람 학습을 시키고 싶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배우와 연출가는 누구인가요. “초기의 이상우, 김석만, 김광림 등입니다. 처음에 김광림 작가와 이상우 연출을 한 팀으로 구상했었습니다. 그런데 이상우는 나름대로 작품이 정리되지 않으면 연극을 못하는 스타일 입니다. 그는 어떤 작품도 자기식대로 고쳐야 합니다. 초기 작품 ‘우리들의 저승’ 에서 이상우는 김광림의 작품을 나름대로 해석했습니다. 거기에 만족하지 못한 김광림은 연출을 시작했고, 이상우는 작품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그들은 대가가 됐습니다. 김광림과 이상우가 작가로 평가받으면서도 연출가로도 명성을 날리게 된 이유인 셈입니다” -내년이 창단 30년이라고 들었습니다. 창단기념 행사는 어떤 것을 준비하고 있나요. “30년을 정리하는 책자의 발간과 기념공연 두 가지 입니다. 공연은 예전 작품 중 다시 한번 무대에 올려 볼 만한 것을 골라 볼 생각입니다. 젊은 연출가들로 세 작품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잔치분위기를 내기 위해서 신작도 구상 중입니다. 분가(分家)해 나간 극단 ‘차이무’, ‘학전’등과도 함께 하는 자리를 만들 생각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