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과 민노총 등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는 조합원들이 급증하고 있다. 1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00년 4만명에 머물렀던 미가입 노조원은 지난해 43만명으로 10배나 많아졌다고 한다. 노조 조직률도 1989년의 19.8%에서 지난해 10.3%로 반 토막이 났다. 더욱이 근로자 전체를 기준으로 하면 한국노총 가입률이 4.5%, 민노총은 3.4%에 불과하다니 양대 노총이라는 용어 자체가 낯뜨거울 판이다. 이 정도 가입률을 가지고 노동개혁과 관련한 대표성을 주장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무소속 노조가 늘어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양대 노총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고 무리한 정치투쟁에 치중하면서 조합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민노총이 총파업을 벌일 때마다 저조한 참가율로 골머리를 썩였던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심지어 현대자동차 등 강성노조마저 총파업에 등을 돌리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파업 참가를 독려하기 위해 공짜 상품권까지 뿌리는 사태마저 빚어졌을 정도다. 회사가 망하든 말든 조합원의 복지보다는 오직 투쟁실적만 올리면 된다는 민노총의 무분별한 투쟁방식이 자초한 결과인 셈이다.
그런 민노총이 노동개혁에 반대한다며 서울 도심을 무법천지로 만들어놓은 것도 모자라 "나라 전체를 마비시키겠다"고 협박을 일삼고 있다. 대표성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민노총이 목소리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모두를 위한 노동개혁을 한사코 가로막고 있으니 국민의 공분을 사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민노총이 근로자의 진정한 대변자를 자처한다면 고용불안에 떨고 있는 비정규직을 포함해 전체 근로자를 배려하는 통 큰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 첫걸음은 바로 모두가 염원하는 노동개혁이다. 노동개혁은 민노총의 주력부대인 소수 정규직 노조가 과감히 기득권을 버리고 비정규직과 청년층 등 국민 전체를 끌어안아야 가능한 법이다.
무소속 노조가 늘어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양대 노총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고 무리한 정치투쟁에 치중하면서 조합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민노총이 총파업을 벌일 때마다 저조한 참가율로 골머리를 썩였던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심지어 현대자동차 등 강성노조마저 총파업에 등을 돌리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파업 참가를 독려하기 위해 공짜 상품권까지 뿌리는 사태마저 빚어졌을 정도다. 회사가 망하든 말든 조합원의 복지보다는 오직 투쟁실적만 올리면 된다는 민노총의 무분별한 투쟁방식이 자초한 결과인 셈이다.
그런 민노총이 노동개혁에 반대한다며 서울 도심을 무법천지로 만들어놓은 것도 모자라 "나라 전체를 마비시키겠다"고 협박을 일삼고 있다. 대표성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민노총이 목소리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모두를 위한 노동개혁을 한사코 가로막고 있으니 국민의 공분을 사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민노총이 근로자의 진정한 대변자를 자처한다면 고용불안에 떨고 있는 비정규직을 포함해 전체 근로자를 배려하는 통 큰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 첫걸음은 바로 모두가 염원하는 노동개혁이다. 노동개혁은 민노총의 주력부대인 소수 정규직 노조가 과감히 기득권을 버리고 비정규직과 청년층 등 국민 전체를 끌어안아야 가능한 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