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기준으로 중국 경제성장률이 7%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5년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중국 경제의 고도성장세가 확실히 꺾인 셈이다. 중국 정부는 이를 새로운 안정을 뜻하는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라는 말로 포장하지만 상황은 만만찮다. 무엇보다 앞으로가 문제다. 대내외적으로 불안정 요소가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는 부동산 거품 붕괴와 이로 인한 금융위기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는 상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미국과의 무역전쟁 파고가 높아지고 있음도 경계의 대상이다. 트럼프 정부가 예고한 대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고 중국산 수입품에 45%에 달하는 고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월가에서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급감하면서 기업도산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4%대로 주저앉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올 정도다.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중국 당국 역시 성장 둔화 추세를 부인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공산당 회의에서 경제성장률 목표구간 하한선인 6.5% 이하로 떨어지는 것도 용인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중국 경제의 호시절이 끝나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 대한 교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때다. 그렇잖아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대중 수출 전선에 먹구름이 잔뜩 낀 상태다.
이를 헤쳐나갈 돌파구는 분명하다. 가능한 한 중국 경제에의 의존도를 줄여가는 것이다. 일부 기업들은 이미 생산거점과 거래처 다변화 등 ‘중국 리스크’ 줄이기에 들어갔다니 다행한 일이다. 기업의 노력 못지않게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절실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