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은 이런 유사성이 73%로 다소 낮았다.
28일 서울대 보건대학원에 따르면 김호·이재영·이승묵 교수팀이 1년에 걸쳐 서울대, 중국 베이징대, 일본 나가사키대의 건물 옥상에서 채집한 미세먼지에 섞여 있는 세균의 DNA를 추출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해 종(種)의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서울과 베이징은 83%, 서울과 나가사키는 73%가 비슷했다.
북서풍이 불고 습도가 낮아 초미세먼지와 세균이 이동하기 좋은 겨울과 봄에 세균 종의 유사성이 높은 반면 동남풍이 불고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유사성이 가장 낮았다.
세 도시의 미세먼지에서 검출된 부유 세균의 67.3%는 인체에서 발견되는 프로테오박테리아, 피르미쿠테스, 악티노박테리아 등 3종이었다. 베이징과 서울에서 발견된 부유 박테리아의 다양성은 각각 나가사키의 2배, 1.5배 수준이었다.
김호 교수는 “한중일 세 도시의 미세먼지에 섞여 있는 박테리아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지만 기상학적 관점에서 박테리아의 이동이 가능하다고 해서 중국의 박테리아가 한국과 일본으로 날아왔다고 단정하기는 힘든 만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