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인기를 끌던 개인간거래(P2P) 금융 업계의 성장세가 점차 꺾이고 있다. 최근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급증한 연체 문제도 P2P 업계의 숙제로 남아 있어 ‘옥석 가리기’가 한층 가속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6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58개 회원사들의 누적 대출액은 1조6,516억원으로 전월 대비 794억원(5.1%) 늘어나는 데 그쳤다. 9월 말 기준 한달간 증가폭이 1,448억원(10.9%)이었던 것에 비하면 증가율이 반토막 난 것이다.
연체 문제도 아직 불안한 분위기다. 지난달 말 기준 연체율은 4.23%로 전월 대비 1.78%포인트 감소했지만 부실률은 1.35%로 전월(1.12%)에 비해 상승했다. 연체율은 대출 잔액 가운데 30~90일간 상환이 지연된 금액의 비중을, 부실률은 누적 대출액 가운데 90일 이상 장기 연체된 금액의 비중을 말한다. 부실률이 높을수록 돌려받을 가능성이 낮은 대출액이 늘어난다는 얘기다.
더구나 협회의 이번 집계에서는 최근 연체율이 급등한 펀듀가 빠져 ‘착시 효과’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0위권 P2P 업체인 펀듀는 지난달 연체율이 90% 넘게 오르는 등의 문제를 일으켜 협회에서 제명됐다. 협회 측은 펀듀 외에도 일부 회원사들의 연체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금융 당국은 P2P 업계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비중이 높다는 점을 문제로 보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누적대출액 가운데 부동산 PF 대출액은 5,553억원으로 부동산담보대출(4,300억원), 신용대출(3,304억원)보다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부동산 PF 상품에 투자할 때는 부동산 담보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깐깐히 따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200개 가까이 늘어난 P2P 업체들은 브랜드 이미지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에만 14개의 업체들이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금감원에 정식으로 등록했다. 금융 당국은 P2P 기업의 연계 대부업체를 금감원에 등록해 관리·감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