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술 취한 사람이나 치매노인, 미아, 수배자·범죄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짧게는 3시간, 길게는 2일이나 걸린다. 구조요청 전화가 경찰에 접수돼도 현재 위성항법시스템(GPS) 등을 활용한 위치 정밀도는 반경 1~2㎞로 너무 넓어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다. 교통사고 등 돌발상황 발생 시 후방 운전자나 주변인에게 경고하지 못해 다중추돌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이 연구개발(R&D)을 통해 국민의 치안불안을 해소하는 데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민·경찰·연구자가 협업해 치안현장 맞춤형 R&D를 진행하는 폴리스랩(PoliceLab)을 강화해 치안 체감효과를 높이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현장경찰관 지원 시스템 구축, 범죄사건 관련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물 제보 시스템 개발, 신고자·구조요청자의 정확한 위치 확인 연구, 스마트 지문식별·신원확인 시스템 개발, 지능형 모바일 자동 음성경보 시스템 구축, 소형 드론을 활용한 현장경찰 지원과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개발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폴리스랩 사업 선정계획을 31일 공고하고 다음달 29일까지 접수하기로 했다. 폴리스랩은 지난해 처음 기획돼 공모전과 수요조사를 통해 195건의 치안현장 문제를 발굴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과기부·경찰청·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광본선임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