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물적 분할 후 조선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한국조선해양 본사를 서울에 두려 하자 울산시가 반발하고 나섰다. 인구 감소와 세수 부족 등을 우려한 울산시가 현대중공업의 핵심 사업체 이전을 못하도록 발 벗고 나선 것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7일 시청에서 담화문을 발표하며 “한국조선해양이야 말로 현대중공업의 진정한 본사로 반드시 울산에 존속되어야만 한다”고 요구했다.
시와 현대중공업 등에 따르면 이달 31일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물적 분할이 승인되면 현재 현대중공업은 ‘한국조선해양’이라는 중간지주회사(분할 존속회사)로 바뀌고 그 자회사로 신생 현대중공업(분할 신설회사)이 탄생한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서울 계동에 한국조선해양 본사를 둔다는 계획이다. 기존 울산에 본사를 둔 현대중공업이 이름을 한국조선해양으로 바꾸면서 서울로 본사를 옮기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될 경우 400~500명의 인력 유출을 예상된다는 점이다. 총무와 회계 등 경영지원본부와 전산, 설계, 연구 인력으로 2021년까지 이동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현대중공업이 2017년 4사 분할을 하는 과정에서 현대글로벌서비스가 먼저 부산으로 이전했고, 현대로보틱스(2017년)와 현대건설기계(2018년)도 각각 대구와 서울로 본사를 이전한 바 있다. 2015년 조선업 위기와 함께 시작된 구조조정과 4사 분할에 이어 이번 물적 분할까지 거치면서 탈울산 현상이 심화되는 것이다.
송 시장은 “한국조선해양 본사의 타 지역 이전은 간신히 조선산업 위기를 극복하고 있는 동구지역 주민들과 울산시민에게 심리적 저항과 불안감을 불러올 것”이라며 “현대중공업의 경영, 설계, 연구인력의 역외 유출은 3만여 명의 인력 구조조정과 분사 결정에 따른 지역 경제 붕괴의 악몽을 재연한다”고 우려했다.
반면 현대중공업은 분할 후에도 공장 등 사업장 이전 없이 기존 사업을 그대로 수행하고 중간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 본사 위치를 두고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이라 주장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입장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한국조선해양은 조선 사업의 투자와 엔지니어링 등을 담당하는 회사로서 서울에 본사를 두는 것이 연구개발(R&D) 인력 유치뿐 아니라 조선 계열사들의 전문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데 효율적이다”이라며 “한국조선해양에 소속되는 인력은 현재 현대중공업 전체 인력 1만5,000여 명 중 500여 명 수준이며, 그중 울산에서 다른 지역으로 근무지를 옮기는 인원은 100여 명 정도에 불과해 인력 유출에 대한 우려는 과도한 해석같다”고 강조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